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인물별 검색

TOTAL. 17,824

인물정보

성명
이승대
한자명
李承大
운동계열
의열투쟁
생몰년도
1875 ~ 미상
본적
전라남도 담양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15년

공적개요

1907년 3월 서울에서 나인영(羅寅永), 오기호(吳基鎬) 등의 을사오적(乙巳五賊) 암살계획에 참여하여 활동하다 체포되어 유형(流刑) 10년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이승래
한자명
李承來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55 ~ 1927
본적
경상남도 거창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1995년

공적개요

1919. 3월 파리강화회의에 한국독립을 호소하기 위하여 김창숙(金昌淑) 등이 유림대표(儒林代表)가 되어 작성한 독립청원서에 유림(儒林)의 한 사람으로 서명(署名)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승래
한자명
李承來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86 ~ 미상
본적
함경북도 회령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21년

공적개요

1922년 5월경 중국 길림성 돈화현에서 돈화현회(敦化縣會) 간사로 활동함. 1923년 3월경 돈화․연길․왕청현 및 함북 회령 등지에서 북로군정서 모연대장, 동년 10월 이후 대한독립총군부 모연대원, 1924년 3월 대한독립단 제3대장 등으로 군자금을 모집함. 1925년 3월 신민부 징모대장, 1926년 1월 이후 신민부 돈화지방총판부 경찰부장 등으로 활동하다 1927년 1월과 1928년 1월 중국 관헌에 각각 체포됨. 1931년 9월 이래 영안현 등지에서 한족연합회 간부로 군자금을 모집함.

인물정보

성명
이승로
한자명
李承魯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미상 ~ 1956
본적
강원도 평창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19. 3. 1 운동 당시(運動當時) 평창군(平昌郡) 총책임자(總責任者)로써 마포(麻布)에 비밀 인쇄소(秘密印刷所)에서 인쇄(印刷)한 독립선언문(獨立宣言文)을 평창군(平昌郡)에 운반하고 태극기(太極旗) 수만 매(數万枚)를 제작하여 만세 운동(萬歲運動)을 전개하던 중 3. 20에 왜경(倭警)에게 체포되어 5년형(年刑)을 받고 복역(服役). 2년 1개월(個月)만에 감형(減刑)되어 출옥(出獄)하였음.(1963. 11. 28 동아일보(東亞日報))

인물정보

성명
이승룡
한자명
李承龍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53 ~ 1896
본적
경기도 기타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03년

공적개요

1896년 경기(京畿) 양근(楊根)에서 거의(擧義)하여 의병장으로 군사를 규합하고 남한산성(南漢山城)을 근거로 활동하다가 피살(被殺)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이승룡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이승만
한자명
李承晩
운동계열
임시정부
생몰년도
1875 ~ 1965
본적
황해도 평산
포상훈격
대한민국장
포상년도
1949년

공적개요

1896년 서울에서 협성회(協成會)를 조직하였으며, 협성회보(協成會報)와 매일신문(每日新聞) 주필로 활동하였다. 독립협회(獨立協會)에서 독립민권사상을 고취하고 1898년 내각 중심제 정부를 조직하고 고종 황제를 양위시키려는 계획에 가담했다 징역 7년형을 언도받았다. 감옥에서 독립 정신(獨立精神) 등을 저술하고 1904년 8월까지 5년 6개월 이상의 옥고를 치렀다. 1905년부터 미국에서 워싱턴대학 학사, 하버드대학 석사, 프린스턴대학 박사를 취득하고 1910년에 귀국하였다. 1910년 서울에서 황성기독청년회 학감 등으로 활동했다. 1913년 미국 하와이에서 한인중앙학원을 인수 운영하면서 태평양잡지를 창간했다. 1918년 12월 대한인국민회로부터 파리강화회의 한국대표로 임명되었으나 미국 국무성으로부터 여행권을 발급받지 못해 참석하지는 못했다. 1919년 4월 상해에서 조직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대통령으로 추대되었다. 1919년 4월 필라델피아에서 한인대표자대회를 소집하여 독립방략을 논의하고 독립의지를 세계여론에 호소했다. 동년 8월 워싱턴에 구미위원부를 설치해 외교운동과 독립자금을 모집했다. 1921년 5월 워싱턴 군축회의에서 임시정부 전권대사로 한국 독립문제를 의제를 상정시키려는 외교활동을 했다. 1924년 호놀룰루에서 조직된 대한인동지회의 종신총재로 추대되었다. 1925년 임시정부로부터 임시대통령직에서 면직되었다. 1933년 제네바 국제연맹회의에 참석하여 한국 독립문제를 환기시켰다. 1941년 12월 일본의 진주만 공격으로 태평양 전쟁이 발발하자 임시정부 구미위원장으로 미국 대통령과 국무성을 상대로 임시정부 승인을 요구하는 외교활동을 벌였다. 1945년 4월 샌프란시스코에서 개최된 국제연합 창립총회에서 한국대표단 단장으로 임정 대표의 참석을 요구하는 외교활동을 폈다.

이승만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이승무
한자명
李昇茂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95 ~ 1929
본적
평안남도 순천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1년

공적개요

1919년 3.1독립운동 당시 만세시위에 참여한 후 만주(滿洲)로 망명, 독립운동단체인 대한독립단(大韓獨立團)에 가입하여 1923년 8월 30여명의 동지와 함께 평북(平北) 의주(義州) 청성주재소 면소와 우편국 세관 등을 습격하던 중 왼팔에 총상을 입고 피체되어 1923년 12월 신의주지방법원에서 징역12년형을 언도받고 옥고를 치르다가 1929년 출옥한 후 고문의 여독으로 병을 얻어 사망한 사실이 확인됨.

이승무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이승범
한자명
李昇範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0 ~ 미상
본적
평안북도 벽동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10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31일 평안북도(平安北道) 벽동군(碧潼郡)에서 조선독립만세를 부르다 체포되어 징역 1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승범
한자명
李承範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96 ~ 1920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1년

공적개요

1920.11.11 만주(滿洲) 연길현(延吉縣)에서 독립군(獨立軍)으로 활동(活動)하다가 일군(日軍)에게 사살(射殺)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승복
한자명
李承復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4 ~ 1959
본적
경상북도 안동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19.3.18 경북(慶北) 안동(安東)장터서 김영석(金永石)등과 같이 독립만세’(獨立萬歲) 시위(示威)에 가담(加擔)하였으며 3.19에는 안동경찰서(安東警察署)앞 독립만세’(獨立萬歲)에 참가(參加)하고 독립만세’(獨立萬歲)를 고창(高唱)하며 행진(行進)하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 1년형(年刑)을 받고 옥고(獄苦)를 치른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승복
한자명
李昇馥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95 ~ 1978
본적
충청남도 예산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13년 이후(年以後) 독립운동 지사(獨立運動志士) 이동녕(李東寧), 이상설(李相卨), 조완구(趙琬九), 박은식(朴殷植) 등과 교우(交友)하며 항일활동(抗日活動)을 하여오다 수차(數次)에 걸쳐 구금(拘禁)되고 신간회창립 발기인(新幹會創立發起人)으로 활동(活動)하며 언론창달 등(言論暢達等)에 계속적(繼續的)으로 항일활동(抗日活動)을 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승봉
한자명
李承鳳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83 ~ 미상
본적
경상북도 기타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21년

공적개요

1907년 10월경 경북 청하군(현 포항시), 영천군 일대에서 정용기 의진(鄭鏞基義陣)에 참여하여 의병활동을 하고 징역 1년을 받음.
성명 한자명 생몰년도 운동계열 포상훈격 생존여부 본적 보기

성명

이승대

한자명

李承大

생몰년도

1875 ~ 미상

운동계열

의열투쟁

포상훈격

2015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전라남도 담양

자세히 보기

성명

이승래

한자명

李承來

생몰년도

1855 ~ 1927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5건국포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거창

자세히 보기

성명

이승래

한자명

李承來

생몰년도

1886 ~ 미상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2021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함경북도 회령

자세히 보기

성명

이승로

한자명

李承魯

생몰년도

미상 ~ 1956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강원도 평창

자세히 보기

성명

이승룡

한자명

李承龍

생몰년도

1853 ~ 1896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2003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기도 기타

자세히 보기

성명

이승만

한자명

李承晩

생몰년도

1875 ~ 1965

운동계열

임시정부

포상훈격

1949대한민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황해도 평산

자세히 보기

성명

이승무

한자명

李昇茂

생몰년도

1895 ~ 1929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1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평안남도 순천

자세히 보기

성명

이승범

한자명

李昇範

생몰년도

1880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10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평안북도 벽동

자세히 보기

성명

이승범

한자명

李承範

생몰년도

1896 ~ 1920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1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이승복

한자명

李承復

생몰년도

1884 ~ 1959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안동

자세히 보기

성명

이승복

한자명

李昇馥

생몰년도

1895 ~ 1978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1990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남도 예산

자세히 보기

성명

이승봉

한자명

李承鳳

생몰년도

1883 ~ 미상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2021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경상북도 기타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