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인물별 검색

TOTAL. 17,824

인물정보

성명
이순구
한자명
李純久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84 ~ 1972
본적
경상북도 월성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1년

공적개요

1906년 3월 경북(慶北) 영천(永川)에서 정용기(鄭鏞基)가 부명(父命)을 따라 거의(擧義)하니 실형(實兄)인 중군장(中軍將) 이한구(李韓久)와 함께 입진(入陣)하여 진중실기(陣中實記)를 초집(抄集)하는 임무를 띄우고 활동하다가 1907.10.7 입암 전투(立巖戰鬪)에서 정용기(鄭鏞基)와 실형(實兄) 이한구(李韓久) 등 장령(將領)이 전사당하고 그 뒤를 이은 정환직 진(鄭煥直陣)에서 활동하다 또한 전패하니 서종락(徐鍾洛)과 후일을 기약하고 귀가하여 지내다가 1914년경 우재룡(禹在龍) 권영만(權寧萬) 등 전 의병(前義兵) 간부인 광복회원(光復會員)과 상통하며 활동하다 만주(滿洲)로 솔가피신(率家避身)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순구
한자명
李旬求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2 ~ 1950
본적
충청남도 천안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19.4.1 천안군(天安郡) 병천(竝川) 독립만세시위에 적극 활동하다가 체포되어 1919.7.4 경성복심법원(京城覆審法院)에서 징역2년형을 받어 상고하였으나 1919.9.11 고등법원(高等法院)에서 기각(棄却) 확정(確定)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이순구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이순극
한자명
李順克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902 ~ 1919
본적
강원도 홍천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19. 4. 3 강원도(水原道) 홍천군(洪川郡) 내촌면(乃村面) 물걸리(物傑里)에서 인근주민(隣近住民) 수천 명(數千名)과 같이 독립만세’(獨立萬歲)를 고창(高唱)하며 시위(示威)를 선도(先導)하다 적(敵)의 흉탄(凶彈)에 맞어 순국당(殉國當)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순근
한자명
李順根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3 ~ 1958
본적
경상북도 의성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2년

공적개요

1919. 3. 18 경북(慶北) 의성군(義城郡) 안평면(安平面) 대사동(大司洞)에서 수십여명의 군중과 함께 독립만세를 고창(高唱)하며 활동하다 피체(被逮)되어 징역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순기
한자명
李順基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87 ~ 미상
본적
서울 서울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17년

공적개요

1908년 5월 박내병 의진(朴來秉義陣)에 참여하여 동년(同年) 7월 경기도(京畿道) 양주군(楊州郡) 일대에서 군자금 모집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징역 5년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이순기
한자명
李舜基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0 ~ 1948
본적
함경남도 함흥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3.1운동 때 함흥시(咸興市)에서 만세시위를 주도하여 징역 1년 6월형을 받았으며 출옥 후에도 계속 신간회운동(新幹會運動), 민족계몽운동(民族啓蒙運動)으로 일생을 바쳤음.

인물정보

성명
이순기
한자명
李舜基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7 ~ 1959
본적
경기도 안성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3.1 운동 당시 안성(安城) 원곡(元谷) 만세사건에 가담하여 면사무소, 주재소, 우편소등을 습격, 파괴하고 2년형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순길
한자명
李順吉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91 ~ 1958
본적
전라북도 옥구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19년

공적개요

1919년 4월 대한애국부인회 각도 지부 통신원으로 활동하다 체포되어 불기소 처분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이순덕
한자명
李淳德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6 ~ 1919
본적
평안남도 성천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1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4일 평남(平南) 성천군내(成川郡內) 각면의 천도교인(天道敎人)과 수천명의 시위군중이 합세되어 독립만세를 연창하며 일 헌병대(日憲兵隊)로 진격하다가 일군(日軍)이 쏜 총탄에 맞아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순모
한자명
李順模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3 ~ 1975
본적
경기도 화성
포상훈격
독립장
포상년도
1963년

공적개요

1. 1919년 4월 3일 경기(京畿) 수원군(水原郡) 장안면(長安面) 우정면(雨汀面) 두 사무소(事務所)를 습격(襲擊)하고 군중(群衆)2000여인(餘人)을 지휘(指揮)하여 시위 운동(示威運動)을 전개(展開)하였으며 화수리주재소(花樹里駐在所)를 소훼(燒毁)하고 왜 순경(倭巡警)을 토살(討殺)한 주모자(主謀者)의 일인(一人)이다.(독립운동사(獨立運動史) p.164) 2. 그 후(後) 피체(被逮)되어 33인(人)과 같이 경성지방법원(京城地方法院)에 송치(送致)되다.(상동(上仝)) 3. 징역 10년형(年刑)을 받다.

이순모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이순승
한자명
李淳承
운동계열
광복군
생몰년도
1908 ~ 1976
본적
경기도 강화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42년 5월 광복군(光復軍)에 입대 제2지대 제1구대원(區隊員)으로 활동 O.S.S훈련을 받음과 아울러 1944년 10월 제2지대 부관(副官) 1945년 청도지구(靑島地區) 지대장(支隊長)으로 교민보안관리, 한적 사병(韓籍士兵) 5,000여명을 인수 귀국케함.

이순승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이순승
한자명
李順承
운동계열
중국방면
생몰년도
1902 ~ 1994
본적
경기도 양주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23년 중국(中國) 상해(上海)로 망명하여 조국광복운동에 참가하고 1939년 6월에는 한국혁명여성동맹(韓國革命女性同盟)을 조직하여 여성의 단결을 위해 활동하였으며 대한민국임시정부(大韓民國臨時政府) 옹호정당인 한국독립당(韓國獨立黨)에 가입하여 1945. 8월 광복시까지 활동한 사실이 확인됨.
성명 한자명 생몰년도 운동계열 포상훈격 생존여부 본적 보기

성명

이순구

한자명

李純久

생몰년도

1884 ~ 1972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1991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월성

자세히 보기

성명

이순구

한자명

李旬求

생몰년도

1892 ~ 1950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남도 천안

자세히 보기

성명

이순극

한자명

李順克

생몰년도

1902 ~ 1919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0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강원도 홍천

자세히 보기

성명

이순근

한자명

李順根

생몰년도

1893 ~ 1958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2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의성

자세히 보기

성명

이순기

한자명

李順基

생몰년도

1887 ~ 미상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2017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서울 서울

자세히 보기

성명

이순기

한자명

李舜基

생몰년도

1890 ~ 1948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함경남도 함흥

자세히 보기

성명

이순기

한자명

李舜基

생몰년도

1897 ~ 1959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기도 안성

자세히 보기

성명

이순길

한자명

李順吉

생몰년도

1891 ~ 1958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19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북도 옥구

자세히 보기

성명

이순덕

한자명

李淳德

생몰년도

1886 ~ 1919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1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평안남도 성천

자세히 보기

성명

이순모

한자명

李順模

생몰년도

1893 ~ 1975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63독립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기도 화성

자세히 보기

성명

이순승

한자명

李淳承

생몰년도

1908 ~ 1976

운동계열

광복군

포상훈격

1990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기도 강화

자세히 보기

성명

이순승

한자명

李順承

생몰년도

1902 ~ 1994

운동계열

중국방면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기도 양주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