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인물별 검색

TOTAL. 17,824

인물정보

성명
이수약
한자명
李修若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미상 ~ 1920
본적
함경북도 성진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1년

공적개요

1920.11.4 만주(滿洲) 연길현(延吉縣)에서 다액(多額)의 군자금(軍資金)을 모집(募集)하여 독립운동 단체(獨立運動團體)에 전달(傳達)하는 등의 활동(活動)을 하다가 일군(日軍)에게 사살(射殺)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수양
한자명
李秀陽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9 ~ 1977
본적
충청남도 연기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5년

공적개요

1919. 4. 13 충남(忠南) 연기군(燕岐郡) 전의면(全義面) 읍내리(邑內里)에서 이수욱(李秀郁)의 주도로 전개된 독립만세’(獨立萬歲) 시위운동에 참여하여 군중을 규합, 이들과 함께 태극기를 흔들며 읍내(邑內) 각처를 시위행진하는 등 활동을 전개하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수열
한자명
李守烈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903 ~ 1971
본적
경상남도 동래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00년

공적개요

1919. 3. 13 동래고보(東萊高普) 2학년에 재학중 경남(慶南) 동래군(東萊郡) 동래읍(東萊邑)시장에서 엄진영(嚴進永), 김귀룡(金貴龍)과 함께 미리 제작한 태극기와 독립선언서를 장꾼들에게 나누어 주고 대한독립만세를 고창(高唱)하다 체포되어 징역 4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수영
한자명
李秀英
운동계열
임시정부
생몰년도
미상 ~ 1921
본적
평안남도 강동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5년

공적개요

1919. 3월 평남(平南) 강동(江東) 삼등(三登)의 홍문(弘門) 앞에서 독립선언서를 낭독한 후 선포식을 거행하고 헌병대와 면사무소에서 시위를 하였고, 동면(同面) 동추리(東芻里)에서 헌병보조원 2명과 충돌하여 무장해제를 시킨 후 시위를 계속하였으며 그 후 일제(日帝)의 검거망을 피하여 만주(滿洲)로 망명하여 대한독립단(大韓獨立團)에 가입하여 활동하다 귀국하여 1920. 3월 평양에서 김석황(金錫璜), 여행렬(呂行烈) 등이 조직한 결사의용단(決死義勇團)의 강동군(江東郡) 지부장(支部長)에 선임되어 군자금 모집과 무기구입 활동을 하였고 동년(同年) 8월 의용단(義勇團)의 대한일신청년단(大韓日新靑年團) 결사대(決死隊)의 동지와 함께 평남(平南) 도청(道廳) 및 평양경찰서등 일제(日帝) 기관(機關)의 폭파활동을 하였으며 9월 14일 평남(平南)에서 주석환(朱錫煥) 외(外) 다수의 동지와 함께 성천군(成川郡) 대곡면(大谷面) 주재소(駐在所)를 습격하였고, 대한독립단(大韓獨立團)이 광복군 사령부(光復軍司令部)로 개편된 후 1921. 2월 묘산주재소(卯山駐在所)를 습격하여 일경(日警) 청목(靑木)을 사살하는 등의 활동을 하다가 전사(戰死)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수영
한자명
李遂榮
운동계열
계몽운동
생몰년도
1887 ~ 1969
본적
서울 서울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1년

공적개요

1909년 대동청년당(大同靑年黨)에 가입하여 활동하고 1920년 4월 서울에서 조직된 조선노동공제회(朝鮮勞動共濟會)에 참여하였으며 1920년 11월부터 서울 인사동(仁寺洞)에서 여관을 운영하며 의열단(義烈團)의 국내연락 거점과 밀의장소로 제공하여 1922년 무산자동지회(無産者同志會)를 조직하고 1923년 11월 27일 경북(慶北) 군위군(軍威郡) 부계면(缶溪面) 대율동(大栗洞) 거주 홍정수(洪禎修)로부터 군자금을 모집하기 위해 활동하던 중 피체되어 징역2년6월을 받는 등 17년6월간에 걸쳐 활동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수영
한자명
李秀濚
운동계열
일본방면
생몰년도
1920 ~ 1996
본적
경상남도 창원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40. 6월 일본국(日本國) 명고옥(名古屋) 증근(曾根)타이루(주(株)) 직공(職工)으로 있으며 동지(同志)를 규합(糾合)하여 민족부흥회(民族復興會)를 조직(組織)하고 조국독립(祖國獨立)을 목적(目的)으로 활동(活動)하다가 일경(日警)에게 피체(被逮)되어 징역2년형(年刑)을 받아 옥고(獄苦)를 치른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수욱
한자명
李秀郁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0 ~ 1970
본적
충청남도 연기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19. 3. 13 전의(全義) 독립만세시위운동에 참여하여 적극적으로 활동하다가 체포되어 1919. 6. 7 고등법원에서 징역 1년 6월형을 확정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수원
한자명
李守元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74 ~ 1964
본적
경상북도 의성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19.3.15 의성군(義城郡) 안평면(安平面) 대사동(大司洞)에서 교회(敎會) 영수(領袖)인 이종출(李鍾出)과 김옥돈(金玉頓) 이북술(李北述) 등의 결정 사항(決定事項)을 전(傳)해듣고 적극(積極) 호응(呼應)하여 이날 모인 100여명(餘名)의 군중(群衆)과 더불어 대사동(大司洞) 뒷산(山)에 올라가서 독립만세’(獨立萬歲)를 고창(高唱)하였으며 계속(繼續) 3.16~3.19 4일간에 걸쳐 시위(示威)를 계속(繼續)하다 동년(同年) 3.19 피체(被逮)되어 징역10월을 받았으나 미결기간(未決期間)을 합산(合算)하여 11월24일간의 옥고(獄苦)를 치루었고 주동자(主動者)로서의 활동(活動)한 사실이 확인됨

이수원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이수인
한자명
李洙仁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0 ~ 1963
본적
경상북도 성주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1995년

공적개요

1919. 3월 파리강화회의에 한국독립을 호소하기 위하여 김창숙(金昌淑) 등이 유림대표(儒林代表)가 되어 작성한 독립청원서에 유림(儒林)의 한 사람으로 서명(署名)하는 등 활동하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 6월, 집행유예(執行猶豫) 2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수일
한자명
李壽逸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85 ~ 1966
본적
경상북도 칠곡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2005년

공적개요

김창숙(金昌淑)이 1925년 내몽고지역에 독립운동기지를 건설하고자 국내에 잠입하여 군자금을 모금할 때, 같은 해 경상도 일대에 파견되어 활동하였다가 1927년 체포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수정
한자명
李守丁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7 ~ 1977
본적
강원도 통천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19년4월6일 강원도(水原道) 통천군(通川郡) 순령면(順嶺面) 하고저리(下庫底里)에서 일어난 독립만세 운동(獨立萬歲運動)에 참가(參加)하여 1,300여명(餘名)의 시위 군중(示威群衆)과 함께 독립만세’(獨立萬歲)를 고창(高唱)하며 면사무소(面事務所) 주재소(駐在所) 우편소(郵便所) 등을 차례로 습격(襲擊)하여 건물(建物)을 파괴(破壞)하며 활동(活動)하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2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수정
한자명
李洙貞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0 ~ 1934
본적
경상남도 함안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19. 3. 19 경남(慶南) 함안군(咸安郡) 함안읍(咸安邑) 장날의 독립만세시위에 참가하여 2,000여명의 시위군중과 함께 독립만세를 고창하고 함안군청(含安郡廳), 주재소(駐在所)등을 습격하여 건조물을 파괴하며 활동하다 피체되어 징역 1년형을 언도받은 사실이 확인됨.
성명 한자명 생몰년도 운동계열 포상훈격 생존여부 본적 보기

성명

이수약

한자명

李修若

생몰년도

미상 ~ 1920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1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함경북도 성진

자세히 보기

성명

이수양

한자명

李秀陽

생몰년도

1889 ~ 1977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5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남도 연기

자세히 보기

성명

이수열

한자명

李守烈

생몰년도

1903 ~ 1971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00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동래

자세히 보기

성명

이수영

한자명

李秀英

생몰년도

미상 ~ 1921

운동계열

임시정부

포상훈격

1995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평안남도 강동

자세히 보기

성명

이수영

한자명

李遂榮

생몰년도

1887 ~ 1969

운동계열

계몽운동

포상훈격

1991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서울 서울

자세히 보기

성명

이수영

한자명

李秀濚

생몰년도

1920 ~ 1996

운동계열

일본방면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창원

자세히 보기

성명

이수욱

한자명

李秀郁

생몰년도

1890 ~ 1970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남도 연기

자세히 보기

성명

이수원

한자명

李守元

생몰년도

1874 ~ 1964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의성

자세히 보기

성명

이수인

한자명

李洙仁

생몰년도

1880 ~ 1963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5건국포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성주

자세히 보기

성명

이수일

한자명

李壽逸

생몰년도

1885 ~ 1966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05건국포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칠곡

자세히 보기

성명

이수정

한자명

李守丁

생몰년도

1887 ~ 1977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강원도 통천

자세히 보기

성명

이수정

한자명

李洙貞

생몰년도

1890 ~ 1934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함안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