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인물별 검색

TOTAL. 17,824

인물정보

성명
이봉기
한자명
李鳳奇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87 ~ 미상
본적
전라남도 강진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15년

공적개요

1908년 음(陰) 12월 23일경(日頃) 전남(全南) 해남군(海南郡) 송종면(松終面) 삼마동(三馬洞)에서 황두일 의진(黃斗一義陣)에 속하여 의병(義兵) 밀고자(密告者)를 처단하는 데 참여하는 등 활동하다 체포되어 징역 3년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이봉두
한자명
李鳳斗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84 ~ 1908
본적
경상남도 함양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03년

공적개요

1907. 12월부터 부친(父親) 이창학(李昌鶴)과 함께 의병(義兵)에 투신하여 활동하였으며 1908년 8월 경남(慶南) 함양군(咸陽郡) 상백전면(上栢田面)에서 군자금을 모집하다가 면민(面民)에게 체포되어 피살(被殺)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봉래
한자명
李鳳來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78 ~ 미상
본적
강원도 춘천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18년

공적개요

1907년 음력 9월 경기도(京畿道) 광주군(廣州郡)과 용인군(龍仁郡)에서 정철화 의진(鄭哲和義陣)에 참여하여 군자금을 모집하는 등의 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유형(流刑) 10년을 받고 전남(全南) 지도(智島)에 유배 중 1908년 음력 9월 탈출, 전남(全南) 함평군(咸平郡)에서 전해산 의진(全海山義陣) 종사(從事)로 활동하다 다시 체포되어 태(笞) 100도(度)를 받음.

이봉래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이봉래
한자명
李鳳來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03 ~ 1934
본적
강원도 삼척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31년 정평농민조합 조직에 참여하여 도로개설에 따른 일제 항거를 위해 삼척군 근덕 장날에 군중을 동원하여 독립만세를 고창하며 면소를 파괴하고 활동하다 피체되어 징역 2년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봉래
한자명
李鳳來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906 ~ 1989
본적
함경남도 단천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독립군으로 만주(滿洲)와 국내(國內)에서 활동하다 일경(日警)에 피체되어 주거침입(住居侵入) 강도(强盜) 절도죄(竊盜罪)로 징역 6년형을 언도받고 복역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봉로
한자명
李鳳魯
운동계열
문화운동
생몰년도
1902 ~ 1940
본적
경상북도 달성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 1919년 유림단 대표(儒林團代表) 137인(人) 연서(連署)의 장서휴대(長書携帶)하고 김창숙(金昌淑)과 상해(上海)로 망명(亡命) 1920년 임정조직(臨政組織)에 참가(參加)하다. 2. 1924년 김창숙지휘(金昌淑指揮)로 김화식(金華植), 송영우(宋永祐), 김창택(金昌澤) 등과 조선독립혈사(朝鮮獨立血史) 45권(卷)과 총기(銃器) 탄환(彈丸)을 국내(國內)에 반입(搬入)하고 광복운동 자금 모집(光復運動資金募集)에 활약(活躍)하다가 유림단사건(儒林團事件)으로 전부(全部) 피체(被逮)되었고 봉로(鳳魯)도 북경(北京)에서 피체(被逮)되어 대구(大邱)로 호송(護送)되었는데 미결수(未決囚)로 2년간(年間) 고생하다가 1927년 3월 29일 대구지법(大邱支法)에서 징역 2년 언도(言渡)받고 옥고(獄苦) 출옥(出獄) 후(后) 고문(拷問)으로 병사(病死)하다. 3. 1924년 4월에 공부차(工夫次) 북경(北京)에 가서 김창숙(金昌淑)등과 대면(對面)하여 상해(上海) 불(佛) 조계(租界)에서 정세호(鄭世鎬)로부터 권총 급 탄환(拳銃及彈丸)등을 북경(北京)에 가져다 김창숙(金昌淑) 등에 전(傳)했다. (1927년 2월 11일자(日字) 동아일보(東亞日報) ) (대구복심법원 판결문(大邱覆審法院判決文) 1927년7월9일)

이봉로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이봉묵
한자명
李鳳默
운동계열
광복군
생몰년도
1919 ~ 1966
본적
서울 서울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63년

공적개요

1. 1938. 북경대학(北京大學) 재학중(在學中) 임정(臨政)과 비밀 연락하(秘密連絡下)에 일군(日軍) 정보수집 공작을 하였음 2. 1939. 감시가 심하여지자 학교를 중퇴하고 친일(親日)을 가장하고 하북성(河北省) 신향제빙사(新鄕製氷社) 사원(社員)으로 입사(入社) 3. 1941. 임정(臨政)밀령으로 중국(中國) 중앙군(中央軍) 제일전구(第一戰區) 사령부(司令部)에 특정요원(特情要員)에 편입되여 각 지역(各地域) 일본점령지구(日本占領地區)에 잠입(潛入) 활약하다가 체포되였으나 요행이 석방됨 4. 1941. 12. 천진(天津) 일인(日人)경영 대환백화점(大丸百貨店) 피습사건 용의자로 체포되였다가 일본인 친지의 보증으로 석방 5. 1942. 2. 화북(華北) 철도경비대 신향분대장(新鄕分隊長) 습격 용의자로 체포되였다가 이장묵(李壯黙)의 도움으로 구출됨 6. 1943. 전구사령부(戰區司令部) 특별밀령(特別密令)으로 특정(特情), 선무공작차(宣撫工作次) 산서방면(山西方面)으로 출동 왜경(倭警)에게 체포되였으나 무사(無事) 7. 1944 광복군 사령부(光復軍司令部) 특명으로 중앙군(中央軍) 화북추진군(華北推進軍) 제1대(第一隊)와 합동(合同)하여 1. 일인(日人)경영 화북수산협회(華北水産協會) 하남지부(河南支部)에서 자금 15000원급 무기를 탈취 2. 신향(新鄕) 일본영사관 경찰서 습격 무기 탈취 8. 유격대장에 피임 1. 일본군 주둔부대 급습 2. 일본군 차량, 철도, 습격 군수품 탈취 3. 철도 도로 파괴 4. 선전문 산포 ① 일본인 증인 확인증 및 편지, 전보 ② 일본인 증인으로부터 우송한 봉투 및 호적등본 ③ 신향헌병대에서 석방시 촬영한 사진 ④ 유격대장시의 사진 ⑤ 신향점포에 방첩주간 표어장식 사진

인물정보

성명
이봉석
한자명
李奉石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3 ~ 1953
본적
경기도 강화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2년

공적개요

1919. 3. 18 경기도(京畿道) 강화군(江華郡) 강화읍(江華邑)에서 유봉진(劉鳳鎭) 목사가 주동한 독립만세시위 운동에 참가하여 강화장터에 모인 10,000여명의 시위군중과 함께 독립만세를 고창(高唱)하여 강화군청(江華郡廳)으로 가서 군수로 하여금 독립만세를 고창(高唱)토록 하고 경찰에게 연행되어 있던 유희철(劉熙哲) 조기신(趙基信) 등의 석방을 요구하며 독립만세를 계속하고 고창(高唱) 시위하다가 피체되어 징역 8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이봉석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이봉선
한자명
李鳳善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미상 ~ 미상
본적
강원도 회양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5년

공적개요

1920. 4월 ‘광복단’(光復團)에 가입, 징모대장(徵募隊長)이 되어 화룡현(和龍縣) 사대사(四對社) 주민 40여 명을 ‘광복단’(光復團)에 가입시키고, 독립운동 자금(獨立運動資金)의 모집(募集)을 위해 사대사(四對社)의 나순종(羅淳鍾) 등에게서 2백 5십원을 모집하였으며, 일인(日人) 내전민치(內全敏治)를 밀정(密偵)으로 파악하여 처단하였다가 일경(日警)에 피체(被逮)되어 무기징역(無期懲役)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봉섭
한자명
李奉涉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미상 ~ 1922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5년

공적개요

서로군정서(西路軍政署) 의용군(義勇軍) 제1중대(中隊)에 속하여 무장활동을 하였으며 1922.12.15 집안현(輯安縣)에 출동하였다가 일제의 사주를 받은 중국(中國) 산림대(山林隊)의 습격을 받아 피살(被殺)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봉성
한자명
李鳳性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71 ~ 1921
본적
충청남도 홍성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07년

공적개요

1919년 4월 충남(忠南) 홍성군(洪城郡) 금마면(金馬面)에서 주민들과 함께 독립만세시위에 참여하였다가 체포되어 태(笞) 90도(度)를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봉세
한자명
李鳳世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9 ~ 미상
본적
충청남도 논산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2019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16일부터 19일 사이에 충남 논산군 채운면에서 송재기(宋在紀)의 독립만세운동 계획에 찬성하여 함께 태극기 300개를 제작, 시위 당일 20일에 강경시장 부근에서 군중에게 배포하고 독립만세를 부르며 서정(西町) 방면으로 시위 행진하는 등의 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징역 8월을 받음.
성명 한자명 생몰년도 운동계열 포상훈격 생존여부 본적 보기

성명

이봉기

한자명

李鳳奇

생몰년도

1887 ~ 미상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2015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전라남도 강진

자세히 보기

성명

이봉두

한자명

李鳳斗

생몰년도

1884 ~ 1908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2003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함양

자세히 보기

성명

이봉래

한자명

李鳳來

생몰년도

1878 ~ 미상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2018애국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강원도 춘천

자세히 보기

성명

이봉래

한자명

李鳳來

생몰년도

1903 ~ 1934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강원도 삼척

자세히 보기

성명

이봉래

한자명

李鳳來

생몰년도

1906 ~ 1989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함경남도 단천

자세히 보기

성명

이봉로

한자명

李鳳魯

생몰년도

1902 ~ 1940

운동계열

문화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달성

자세히 보기

성명

이봉묵

한자명

李鳳默

생몰년도

1919 ~ 1966

운동계열

광복군

포상훈격

1963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서울 서울

자세히 보기

성명

이봉석

한자명

李奉石

생몰년도

1883 ~ 1953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2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기도 강화

자세히 보기

성명

이봉선

한자명

李鳳善

생몰년도

미상 ~ 미상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5애국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강원도 회양

자세히 보기

성명

이봉섭

한자명

李奉涉

생몰년도

미상 ~ 1922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5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이봉성

한자명

李鳳性

생몰년도

1871 ~ 1921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07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남도 홍성

자세히 보기

성명

이봉세

한자명

李鳳世

생몰년도

1899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19건국포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충청남도 논산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