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인물별 검색

TOTAL. 17,824

인물정보

성명
이보경
한자명
李輔卿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9 ~ 1962
본적
경기도 부천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16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27일 경기도(京畿道) 부천군(富川郡) 문학면(文鶴面) 관교리(官校里) 자택 뒷산에서 주민 15명과 함께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여 활동하다 체포되어 징역 6월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이보국
한자명
李寶國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72 ~ 1954
본적
충청남도 서산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5년

공적개요

1919. 4. 4 충남(忠南) 서산군(瑞山郡) 대호지면(大湖芝面)에서 800 여명(餘名)의 면민(面民)과 함께 만세시위 운동(萬歲示威運動)에 참가(參加)하여 동 면사무소(面事務所) 및 경찰관 주재소 앞에서 태극기를 앞세우고 독립만세’(獨立萬歲)를 고창(高唱)하다 피체(被逮)되어 태(笞) 90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보동
한자명
李保東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98 ~ 미상
본적
전라북도 옥구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19년

공적개요

1927년 10월 전북 옥구군 서수면 이엽사(二葉社)농장 일본인 지주의 가혹한 소작료 청구에 반발하다 체포된 옥구농민조합 서수지부 간부 장태성(張台成)을 구출하려 임피경찰서를 공격하다 체포되어 징역 4월 집행유예 2년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이보동
한자명
李寶同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5 ~ 1948
본적
충청남도 서산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5년

공적개요

1919. 4. 4 충남(忠南) 서산군(瑞山郡) 대호지면(大湖芝面)에서 800 여명(餘名)의 면민(面民)과 함께 만세시위 운동(萬歲示威運動)에 참가(參加)하여 동 면사무소(面事務所) 및 경찰관 주재소 앞에서 태극기를 앞세우고 독립만세’(獨立萬歲)를 고창(高唱)하다 피체(被逮)되어 태(笞) 90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보비
한자명
李寶妣
운동계열
광복군
생몰년도
1912 ~ 미상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22년

공적개요

1942년 이전 한국청년전지공작대 및 한국광복군 제5지대 대원을 거쳐 1942년 4월경 중국 서안에서 한국광복군 제2지대 대원으로 활동함.

인물정보

성명
이보성
한자명
李保性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1 ~ 1946
본적
충청남도 홍성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05년

공적개요

1919년 4월 1-2일경 충남(忠南) 홍성군(洪城郡) 홍성시장(洪城市場) 등지에서 독립만세운동을 전개하였다가 일경(日警)에게 피체되어 태(笞) 90도(度)를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보식
한자명
李普湜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900 ~ 미상
본적
경상북도 달성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20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29일 경북 달성군 공산면 동화사(桐華寺)의 지방학림(地方學林) 생도로 같은 학교 학생들과 함께 만세시위를 계획, 사전에 만든 태극기를 들고 동화사출장소에 도착하여 1박하고 다음 날인 30일에 경북 대구 덕산정 시장으로 가서 태극기를 흔들고 독립만세를 외치며 시위를 벌이는 등의 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징역 10월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이보영
한자명
李輔永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0 ~ 1955
본적
경기도 양주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3년

공적개요

1919. 3. 13∼14. 이틀간 경기도 양주군 미금면 평내리에서 구장(區長)인 이승익(李昇翼)의 주도로 우보현(禹輔鉉), 정기섭(丁基燮), 김영하(金永夏), 이석준(李錫俊) 등의 동지와 함께 평내리(坪內里)의 주막앞에 집결하여 군중들과 함께 독립만세’(獨立萬歲)를 고창(高唱)하며 면내(面內)를 시위행진하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이보영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이보원
한자명
李輔元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70 ~ 1949
본적
경기도 양평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3년

공적개요

1919. 3. 31 경기도 양평군 강하면 면사무소(面事務所) 앞에서 300여명의 군중들과 함께 독립만세’(獨立萬歲)시위를 벌였으며 이어 4월 3일에도 최대현(崔大鉉)의 주도로 양평군(楊平郡) 고읍면(古邑面)에서 동군(同郡) 강상(江上), 강하(江下), 양서(楊西), 고읍면(古邑面)의 4개면에서 운집한 4천여명의 군중들과 함께 태극기를 흔들고 조선독립만세(朝鮮獨立萬歲)를 절규하며 양근읍(楊根邑)을 향해 시위행진하다가 피체(被逮)되어 태(笞) 90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복근
한자명
李復根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79 ~ 1910
본적
전라남도 영암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00년

공적개요

1909년 박사화 의진(朴士化義陣)에 소속되어 전남(全南) 나주군(羅州郡) 욱곡면(郁谷面) 방축동(防築洞)에서 일본 헌병과 보조원 등 4명을 기습공격하여 헌병 1명을 부상시키고 보조원 1명을 사살하였으며 영암군(靈巖郡) 종남면(終南面) 화수동(花水洞)의 동장(洞長)을 처단하고 지도군(智島郡) 압해면(押海面)에서 군자금을 모집하는 등 활동하다가 체포되어 교형(絞刑)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복래
한자명
李復來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4 ~ 1950
본적
경기도 시흥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19. 3. 30 시흥군(始興郡) 과천면(果川面) 남태령(南泰嶺)에 시위군중을 모이게 하고 독립만세를 고창(高唱)하고, 주민을 지휘하여 과천읍내(果川邑內)에 행진하며 각 관청(各官廳)앞에서 독립만세를 부르며 시위하다 체포되어 징역 1년형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이복래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이복수
한자명
李福守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01 ~ 1929
본적
경상북도 영일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13년

공적개요

1920년 6월 경북(慶北) 경주군(慶州郡)에서 대한국독립내단(大韓國獨立內團) 결사단원으로 군자금을 모집하다 체포되어 징역 1년 6월을 받고, 1925년 4월 20일 서울 종로에서 적기단(赤旗團)에 참여하다 2년간 북만주(北滿洲)에 피신해 있었으며, 1926년 영일청년단(迎日靑年團)으로 활동하다 검거되었고, 1927년 신간회(新幹會) 포항지회(浦項支會) 간사(幹事)로 활동한 사실이 확인됨.
성명 한자명 생몰년도 운동계열 포상훈격 생존여부 본적 보기

성명

이보경

한자명

李輔卿

생몰년도

1889 ~ 1962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16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기도 부천

자세히 보기

성명

이보국

한자명

李寶國

생몰년도

1872 ~ 1954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5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남도 서산

자세히 보기

성명

이보동

한자명

李保東

생몰년도

1898 ~ 미상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19대통령표창

생존여부

미상

본적

전라북도 옥구

자세히 보기

성명

이보동

한자명

李寶同

생몰년도

1885 ~ 1948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5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남도 서산

자세히 보기

성명

이보비

한자명

李寶妣

생몰년도

1912 ~ 미상

운동계열

광복군

포상훈격

2022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이보성

한자명

李保性

생몰년도

1881 ~ 1946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05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남도 홍성

자세히 보기

성명

이보식

한자명

李普湜

생몰년도

1900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20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경상북도 달성

자세히 보기

성명

이보영

한자명

李輔永

생몰년도

1890 ~ 1955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3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기도 양주

자세히 보기

성명

이보원

한자명

李輔元

생몰년도

1870 ~ 1949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3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기도 양평

자세히 보기

성명

이복근

한자명

李復根

생몰년도

1879 ~ 1910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2000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남도 영암

자세히 보기

성명

이복래

한자명

李復來

생몰년도

1894 ~ 1950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기도 시흥

자세히 보기

성명

이복수

한자명

李福守

생몰년도

1901 ~ 1929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13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영일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