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인물별 검색

TOTAL. 17,824

인물정보

성명
이민환
한자명
李珉煥
운동계열
노령방면
생몰년도
1899 ~ 1973
본적
함경남도 홍원
포상훈격
독립장
포상년도
2006년

공적개요

1917년 함남(咸南) 홍원(洪原)에서 조선인 순사를 처단하고 북간도로 망명하였으며 1919년 3·1운동에 참가하였고 연해주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소년모험단(少年冒險團)을 조직하여 반일무장투쟁을 위한 군자금 모집과 무기구매, 운반 등의 활동을 전개하였으며 1921년 여름 조선(朝鮮)에 잠입하여 함남(咸南) 일대(一帶)에서 군비단(軍備團)의 국내거점과 군자금 마련을 위해 활동하였고 동년 12월 함흥(咸興)에서 군자금 모금을 하다가 체포되어 징역 5년을 받았으며 1922년 8월 탈옥하여 러시아 연해주로 망명하여 임병극(林炳極)의 유격부대에 참가하였고 1923년 1월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적기단(赤旗團) 결성대회에 참석하고 부단장(副團長)이 되어 1927년까지 반일운동을 전개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박원
한자명
李泊元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53 ~ 1908
본적
충청남도 부여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6년

공적개요

1907.12~1908.2월 정명신 의진(鄭明信義陣)에 소속되어 50여명의 군사들과 함께 충남(忠南) 은진(恩津), 노성(魯城), 석성(石城), 임천(林川) 등지에서 활동하던 중 일군(日軍)에 피체되자 탈출하다가 피살(被殺)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발
한자명
李發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51 ~ 1928
본적
함경남도 단천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5년

공적개요

이동휘(李東輝)의 실부(實父)로 1919. 3. 1 블라디보스톡에서 대한국민의회(大韓國民議會)의 외각단체로 노인단(老人團)을 결성하고 동년(同年) 5월 31일 입경(入京)하여 종로 등지에서 태극기를 흔들고 자살을 기도하며 만세시위 운동(萬歲示威運動)을 전개하였고 1920. 3. 1에는 블라디보스톡에서 독립선언 기념회(獨立宣言紀念會)의 회장(會長)으로 활동하였으며 신한촌(新韓村)에서 일군(日軍)에 피체(被逮)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발영
한자명
李發榮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0 ~ 1949
본적
경기도 안성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19. 4. 1∼2 양성(陽城) 원곡면(元谷面) 3ㆍ1운동에 참가 1921. 1. 22일 경성복심법원(京城覆審法院)에서 징역 2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발호
한자명
李發鎬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01 ~ 1947
본적
경상북도 안동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08년

공적개요

1925년 3월 이후 경북(慶北) 안동청년동맹(安東靑年同盟), 신간회(新幹會) 안동지회에 가입하여 활동하였으며 1931년 7월말 안동군(安東郡) 예안면(禮安面) 동부동(東部洞)에서 김인근(金麟根) 등과 함께 예안노농행동대(禮安勞農行動隊)를 조직하여 교양부(敎養部) 책임을 맡아 노농야학을 실시하고 동년(同年) 8월경 와룡사방공사장(臥龍砂防工事場)에 잠입하여 파업투쟁을 주동하는 등의 활동을 하다가 체포되어 징역 2년(미결구류(未決拘留) 300일 통산(通算))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배근
한자명
李培根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3 ~ 미상
본적
평안남도 강동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13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31일 평남(平南) 강동군(江東郡)에서 조선독립만세(朝鮮獨立萬歲)를 외치며 시위에 참가하였다가 체포되어 징역 1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배근
한자명
李培根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미상 ~ 1910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1년

공적개요

년월일미상(年月日未詳) 의진(義陣)을 형성(形成)하여 항일활동(抗日活動)을 하다가 일군(日軍)에 피체(被逮)되어 1910. 2. 2 서울의 감옥(監獄)에서 피살(被殺)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배기
한자명
李培基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2 ~ 1974
본적
경상북도 의성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19.3.17~3.19까지 경북(慶北) 의성군(義城郡) 안평면(安平面) 일대(一帶)에서 다수(多數) 군중(群衆)을 규합(糾合)하여 독립만세 시위(獨立萬歲示威)를 주동(主動)하다 피체(被逮)되여 징역1년형(年刑)을 받고 옥고(獄苦)를 치룬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백겸
한자명
李白謙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75 ~ 1908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1년

공적개요

1907.12월~1909.1월 국권 회복(國權恢復)을 위해 의병(義兵)을 일으켜 무장군(茂長郡)과 영광군(靈光郡) 일대(一帶)에서 활동(活動)하며 군자금(軍資金)을 모집(募集)하고 후(後)에 이대극 의진(李大克義陣)에 참여(參與)하여 선봉장(先鋒將)으로 활동(活動)하다가 전사(戰死)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백순
한자명
李伯純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5 ~ 1950
본적
충청남도 논산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1993년

공적개요

1919. 3. 12 충남(忠南) 논산군(論山郡) 논산면(論山面)에서 다수의 군중들과 함께 태극기를 흔들고 독립만세를 고창하며 시위행진하다 피체(被逮)되어 징역 10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백용
한자명
李白容
운동계열
일본방면
생몰년도
1911 ~ 2003
본적
경상남도 고성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3년

공적개요

1943.11월 초경부터 일본(日本) 산구현(山口縣)에서 이완모(李完模)등 기독교회 교우들과 여러 차례 회합하여 조선어의 상실은 민족의 멸망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이의 보존에 힘쓰지 않으면 안된다는 것을 역설하고 조선인 차별철폐, 교육확대, 실력양성을 위해서는 조선민족의 독립이 최선책이 하며 독립의식의 앙양에 노력하다 피체되어 옥고를 치른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백원
한자명
李白元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80 ~ 1947
본적
경기도 포천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5년

공적개요

1908년 음력(陰曆) 10월 - 12월 경기(京畿) 포천군(抱川郡). 양주군(楊州郡) 일대에서 이은찬(李殷瓚) 의병진(義兵陣)에 가담하여 일본 수비대. 헌병대와 교전(交戰)하는 등 활동하다가 피체(被逮)되어 유형(流刑) 5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성명 한자명 생몰년도 운동계열 포상훈격 생존여부 본적 보기

성명

이민환

한자명

李珉煥

생몰년도

1899 ~ 1973

운동계열

노령방면

포상훈격

2006독립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함경남도 홍원

자세히 보기

성명

이박원

한자명

李泊元

생몰년도

1853 ~ 1908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1996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남도 부여

자세히 보기

성명

이발

한자명

李發

생몰년도

1851 ~ 1928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5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함경남도 단천

자세히 보기

성명

이발영

한자명

李發榮

생몰년도

1880 ~ 1949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기도 안성

자세히 보기

성명

이발호

한자명

李發鎬

생몰년도

1901 ~ 1947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08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안동

자세히 보기

성명

이배근

한자명

李培根

생몰년도

1883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13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평안남도 강동

자세히 보기

성명

이배근

한자명

李培根

생몰년도

미상 ~ 1910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1991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이배기

한자명

李培基

생몰년도

1892 ~ 1974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의성

자세히 보기

성명

이백겸

한자명

李白謙

생몰년도

1875 ~ 1908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1991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이백순

한자명

李伯純

생몰년도

1885 ~ 1950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3건국포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남도 논산

자세히 보기

성명

이백용

한자명

李白容

생몰년도

1911 ~ 2003

운동계열

일본방면

포상훈격

1993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고성

자세히 보기

성명

이백원

한자명

李白元

생몰년도

1880 ~ 1947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1995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기도 포천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