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인물별 검색

TOTAL. 17,824

인물정보

성명
이만준
한자명
李萬俊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8 ~ 1971
본적
경상북도 의성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19. 3. 15. 안평면(安平面) 대사동(大司洞) 교회(敎會)에서 이화실(李華實) 등과 같이 독립만세’(獨立萬歲)를 계획(計劃)하고 3.15부터 3.18까지 대사동(大司洞) 동민(洞民)을 비롯 인근주민(隣近住民)을 규합(糾合)하여 4일간에 걸쳐 매일(每日) 독립만세 시위(獨立萬歲示威)를 주동(主動)하다 피체(被逮)되어 징역 1년형(年刑)을 받고 옥고(獄苦)를 치른 사실이 확인됨.

이만준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이만준
한자명
李萬俊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91 ~ 1943
본적
전라남도 장성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19. 3~5 흥업단(興業團)으로 애국청년 4~5백명을 모집 백산학교(白山學校)(무관교(武官校))에 입교시키고 1920. 11월 이후 국내에 잠입 동지 16명을 동지로 가입시켜 일단의 두수는 군자금모집활동중 일경에 피체 1923. 11. 22 대구지법(大邱地法)에서 징역 5년형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만직
한자명
李晩稙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미상 ~ 미상
본적
충청남도 홍성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5년

공적개요

1906년 4월에 충남(忠南) 홍산(鴻山)에서 민종식 의진(閔宗植義陣)의 소모관(召募官)으로 활동하던 중 홍주성(洪州城)이 함락되자 동년(同年) 9월에 민종식을 필두로 곽한일(郭漢一), 박윤식(朴潤植), 김덕진(金德鎭), 황영수(黃英秀), 정회규(鄭會圭), 박창로(朴昌魯) 등과 함께 다시 거사하기로 하였으나 일진회원에게 정보가 알려져 뜻을 이루지 못하였고, 1916년에는 다시 이용규(李容珪)를 중심으로 윤병일(尹炳日)과 함께 거사하기로 하고 군자금을 모금하던 중 피체(被逮)되어 전남(全南) 지도(智島)로 1년간(年間) 유배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만집
한자명
李萬集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76 ~ 1944
본적
경상북도 대구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9년

공적개요

1919. 3. 3 경북(慶北) 대구(大邱)에서 이갑성(李甲成)이 보내온 독립선언서를 받아 김태연(金兌鍊), 김영서(金永瑞)등과 함께 동년(同年) 3월 8일 오후 3시를 기하여 서문외(西門外) 시장에서 만세시위를 계획한 후 김태연(金兌鍊)의 집에서 선언서와 태극기를 제작하고 동지와 학생을 규합하였으며 당일(當日) 군중앞에서 연설을 한 후 만세를 선창하고 시위를 주도하다 피체(被逮)되어 징역 3년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이만춘
한자명
李萬春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80 ~ 1950
본적
전라남도 무안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2021년

공적개요

1927년 전남 무안군 매화도(현 신안군)에서 매화리농민조합에 가입하여 통상조합원으로 소작인의 생활안정을 위한 소작료 경감운동 등의 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징역 6월, 집행유예 2년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이만형
한자명
李萬馨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99 ~ 1923
본적
평안북도 의주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11년

공적개요

1920년 중국(中國) 길림성(吉林省) 관전현(寬甸縣)에서 광복군통영(光復軍統營)에 참여하였고, 1922년 독립단에 참여하여 의주(義州) 구룡포(九龍浦) 대안(對岸)에서 일경(日警)과 교전하였으며, 1923년 대한의군부(大韓義軍府) 경무국원으로 활동하다가 동년 10월 군정서원(軍政署員) 강남도(姜南道)와 의견충돌로 사망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만훈
한자명
李晩勳
운동계열
학생운동
생몰년도
1906 ~ 미상
본적
서울 서울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21년

공적개요

1930년 1월 15일 서울에서 “광주학생운동”에 대한 지지 시위에 참여하였다가 체포되어 구류 20일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이만흥
한자명
李萬興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67 ~ 1920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1년

공적개요

1920.11.4 국민회(國民會) 통신원(通信員)으로 항일활동 중(抗日活動中) 일군(日軍)에게 피체(被逮)되어 만주(滿洲) 서도구(西道溝)에서 총살(銃殺)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만희
한자명
李萬熙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0 ~ 1959
본적
경상북도 영덕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05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18일 경북(慶北) 영덕군(盈德郡) 영해면(寧海面) 성내동(城內洞)에서 남응하(南應夏), 김덕근(金德根) 및 2천여 명의 군중과 함께 한국 독립만세를 부르면서 시장 부근을 행진하다 체포되어 징역 6월, 집행유예(執行猶豫) 3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만희
한자명
李晩羲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8 ~ 1954
본적
경상북도 청도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2년

공적개요

1919. 4. 20 경북(慶北) 청도군(淸道郡) 대성면(大城面) 거연동(巨淵洞)에서 대형(大形) 태극기(太極旗)를 만들어 경부선(京釜線) 철도연변(鐡道沿邊)에 게양(揭揚)하고 시위하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말용
한자명
李末用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8 ~ 미상
본적
경상북도 김천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21년

공적개요

1919년 4월 6일 경북 김천군 개령면 동부동(東部洞) 뒷산에서 독립만세를 외치며 만세시위를 벌이는 등의 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태 90도를 받음.

인물정보

성명
이말인
한자명
李末寅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02 ~ 미상
본적
경상북도 영일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2020년

공적개요

1926년 경북 영일군에서 비밀결사 고려공산청년회에 가입하고, 이듬해 7월 신간회 포항지회 간사로 활동하였으며, 이후 1927년 8월까지 동 포항야체이카를 조직하여 활동하다 체포되어 징역 8월, 집행유예 3년을 받음.
성명 한자명 생몰년도 운동계열 포상훈격 생존여부 본적 보기

성명

이만준

한자명

李萬俊

생몰년도

1888 ~ 1971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의성

자세히 보기

성명

이만준

한자명

李萬俊

생몰년도

1891 ~ 1943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0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남도 장성

자세히 보기

성명

이만직

한자명

李晩稙

생몰년도

미상 ~ 미상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1995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충청남도 홍성

자세히 보기

성명

이만집

한자명

李萬集

생몰년도

1876 ~ 1944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9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대구

자세히 보기

성명

이만춘

한자명

李萬春

생몰년도

1880 ~ 1950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21건국포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남도 무안

자세히 보기

성명

이만형

한자명

李萬馨

생몰년도

1899 ~ 1923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2011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평안북도 의주

자세히 보기

성명

이만훈

한자명

李晩勳

생몰년도

1906 ~ 미상

운동계열

학생운동

포상훈격

2021대통령표창

생존여부

미상

본적

서울 서울

자세히 보기

성명

이만흥

한자명

李萬興

생몰년도

1867 ~ 1920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1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이만희

한자명

李萬熙

생몰년도

1890 ~ 1959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05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영덕

자세히 보기

성명

이만희

한자명

李晩羲

생몰년도

1898 ~ 1954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2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청도

자세히 보기

성명

이말용

한자명

李末用

생몰년도

1898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21대통령표창

생존여부

미상

본적

경상북도 김천

자세히 보기

성명

이말인

한자명

李末寅

생몰년도

1902 ~ 미상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20건국포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경상북도 영일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