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인물별 검색

TOTAL. 17,824

인물정보

성명
이도상
한자명
李道祥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6 ~ 1967
본적
경상북도 안동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17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21일 경북(慶北) 안동군(安東郡) 임동면(臨東面) 편항시장(鞭巷市場)에서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여 대한독립만세를 외치고 편항주재소(鞭巷駐在所)의 기물을 파기하는 등의 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징역 2년을 받음.

이도상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이도순
한자명
李道淳
운동계열
광복군
생몰년도
1909 ~ 1969
본적
평안북도 의주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40년 1월 산서성(山西省) 서안(西安)에서 한국전지공작대(韓國戰地工作隊)에 입대(入隊) 전지간부훈련단(戰地幹部訓練團) 1기 졸업, 1940년 9월 17일 광복군(光復軍) 제2지대에 입대 해방(解放)될 때까지 활동(活動)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도식
한자명
李道植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70 ~ 미상
본적
평안북도 초산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06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31일 평북(平北) 초산군(楚山郡)에서 마을주민 약 500여명과 함께 독립만세를 고창하는 등 활동하다가 일경(日警)에 체포(逮捕)되어 징역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도신
한자명
李道信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902 ~ 1925
본적
평안북도 강계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15년

공적개요

1919년 12월 2일 서울에서 세브란스병원(病院) 간호부(看護婦) 견습(見習)으로 재직 중 훈정동(薰井洞) 종묘(宗廟) 앞 독립만세운동에 참가하여 20여명의 군중과 함께 독립만세를 고창(高唱)하며 활동하다 체포되어 징역 6월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이도윤
한자명
李道胤
운동계열
학생운동
생몰년도
1923 ~ 2013
본적
경상남도 동래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3년

공적개요

1940.11.23 경남(慶南) 동래중학교(東萊中學校) 5학년(學年) 재학시 일인(日人)들의 소위 경남학도전력증강국방경기대회(慶南學徒戰力增强國防競技大會)에 참가하여 동대회(同大會)에서 일인 심판진(日人審判陣)의 부당한 처사로 일본인 학교가 우승을 차지하자 그 부당성을 지적, 항의하고 부산(釜山) 제2상업학교(商業學校) 학생 등 한국인 학생 1,000여명과 함께 시가행진하며「무엇이 ‘내선일체’(內鮮一體)냐」「너희들은 일본(日本)으로 돌아가라」등의 구호를 외치며 조선독립만세를 절규하고, 대회 심판장(大會審判長)인 내태겸치(乃台兼治) 일 육군 대좌(日陸軍大佐)의 관사(官舍)를 파괴, 심판장(審判長)을 구타하다 피체되어 징역 8월을 받고 1년여간 옥고를 치른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도재
한자명
李道在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79 ~ 미상
본적
함경남도 이원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05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7일 함남(咸南) 이원(利原)에서 동면(東面) 천도교 교구장(天道敎敎區長) 김병준(金秉濬) 등과 함께 조선민족독립단(朝鮮民族獨立團)을 결성하여 10일 이원시장(利原市場)에 모인 군중들에게 독립선언서(獨立宣言書)를 인쇄, 배포하고 독립만세시위를 주도하였다가 체포되어 징역 1년 6월을 받고 옥고(獄苦)를 치렀으며 1927년 신간회(新幹會) 이원지회(利原支會)의 검사위원장(檢事委員長)에 선출되어 활동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돈구
한자명
李敦九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88 ~ 미상
본적
서울 서울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14년

공적개요

1920년 음(陰) 3월부터 8월까지 서울에서 길림군정서(吉林軍政署)의 파견원 김동순(金東淳) 등과 함께 일제 관료 및 친일파 처단 활동을 돕고 군자금을 모집하다 체포되어 징역 6년(미결구류(未決拘留) 300일 통산(通算))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이돈석
한자명
李敦錫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6 ~ 미상
본적
충청남도 공주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2020년

공적개요

1919년 4월 1일 충남 공주군 정안면 석송리(石松里)에서 이기한(李綺漢)이 주도한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여 수백 명의 군중과 함께 독립만세를 부르고 동면 광정리(廣亭里)까지 행진하며 동리 경찰관주재소를 공격하는 등의 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징역 10월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이돈성
한자명
李弴誠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80 ~ 미상
본적
경상남도 언양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12년

공적개요

1909년 3~4월 경 박선익(朴善益)의 지휘로 경남(慶南) 언양군(彦陽郡) 언양(彦陽) 읍내 순사 주재소(巡査駐在所), 재무서(財務署), 우편소(郵便所) 등을 공격하고, 울산군(蔚山郡) 등에서 군자금 모집 활동을 하다 동년(同年) 5월 경 체포되어 동년(同年) 7월 진주지방재판소(晉州地方裁判所) 부산지부(釜山支部)에서 교수형(絞首刑)을 받고 항소하여, 동년(同年) 9월 대구공소원(大邱控訴院)에서 종신징역(終身懲役)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이돈성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이돈의
한자명
李敦儀
운동계열
미주방면
생몰년도
1884 ~ 미상
본적
서울 서울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17년

공적개요

1917년 멕시코 메리다지방회 비시야경찰소 서기, 1926년과 1929년 메리다지방회 회장으로 활동하였고, 1912년부터 1945년까지 여러 차례 독립운동자금을 지원함.

인물정보

성명
이돈호
한자명
李墩浩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68 ~ 1942
본적
경상북도 영양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1995년

공적개요

1919. 3월 파리강화회의에 한국독립을 호소하기 위하여 김창숙(金昌淑) 등이 유림대표(儒林代表)가 되어 작성한 독립청원서에 유림(儒林)의 한 사람으로 서명(署名)한 사실이 확인됨.

이돈호의 발자취

성명 한자명 생몰년도 운동계열 포상훈격 생존여부 본적 보기

성명

이도상

한자명

李道祥

생몰년도

1896 ~ 1967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17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안동

자세히 보기

성명

이도순

한자명

李道淳

생몰년도

1909 ~ 1969

운동계열

광복군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평안북도 의주

자세히 보기

성명

이도식

한자명

李道植

생몰년도

1870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06대통령표창

생존여부

미상

본적

평안북도 초산

자세히 보기

성명

이도신

한자명

李道信

생몰년도

1902 ~ 1925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15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평안북도 강계

자세히 보기

성명

이도윤

한자명

李道胤

생몰년도

1923 ~ 2013

운동계열

학생운동

포상훈격

1993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동래

자세히 보기

성명

이도재

한자명

李道在

생몰년도

1879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05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함경남도 이원

자세히 보기

성명

이도해

한자명

李道海

생몰년도

1870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19대통령표창

생존여부

미상

본적

경기도 용인

자세히 보기

성명

이돈구

한자명

李敦九

생몰년도

1888 ~ 미상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14애국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서울 서울

자세히 보기

성명

이돈석

한자명

李敦錫

생몰년도

1886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20건국포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충청남도 공주

자세히 보기

성명

이돈성

한자명

李弴誠

생몰년도

1880 ~ 미상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2012애국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경상남도 언양

자세히 보기

성명

이돈의

한자명

李敦儀

생몰년도

1884 ~ 미상

운동계열

미주방면

포상훈격

2017대통령표창

생존여부

미상

본적

서울 서울

자세히 보기

성명

이돈호

한자명

李墩浩

생몰년도

1868 ~ 1942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5건국포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영양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