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인물별 검색

TOTAL. 17,824

인물정보

성명
이덕민
한자명
李德敏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67 ~ 1924
본적
충청남도 연기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2008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31일 충청남도(忠淸南道) 연기군(燕岐郡)에서 독립만세 시위(獨立萬歲示威)를 하다가 체포(逮捕)되어 징역 10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덕산
한자명
李德山
운동계열
광복군
생몰년도
1919 ~ 2002
본적
충청남도 서산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40. 청년전지공작대(靑年戰地工作隊)에서 공작대(工作隊) 초모 공작(招募工作)과 왜군 동향정보(倭軍動向情報)수집 활동(活動) 1944 광복군 제2지대 정훈조(政訓組) 문화주임 1945 한미합작(韓美合作) 특수 훈련(特殊訓練) O.S.S.을 마치고 활동(活動) 함.

이덕산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이덕삼
한자명
李德三
운동계열
중국방면
생몰년도
1904 ~ 1926
본적
평안북도 철산
포상훈격
독립장
포상년도
1995년

공적개요

1919년경(年頃) 15.6세 소년으로 평북(平北) 선천(宣川) 신성중학교에 재학하면서 임시정부(臨時政府) 교통부기관 전체 사역(傳遞使役)을 담임하고 임시정부의 기밀문서(機密文書) 및 독립신문(獨立新聞)을 전달하였으며 1922년 독립운동(獨立運動) 자금(資金)을 취하여 상해(上海)로 건너 가다가 체포(逮捕)되어 18개월 옥고를 치르고 출감(出監)한 후 북만(北滿)으로 망명(亡命)하였고 1923년 병인의용대(丙寅義勇隊)에 입대하여 일본영사관(日本領事館)에 체포(逮捕)된 동지들을 구출(救出)하고자 일본(日本) 순경(巡警)과 격투(激鬪)를 벌이다 중상(重傷)을 입기도 하였으며 상처가 완쾌되지 않았으나 1926 . 6. 10. 서울에서의 순종황제(純宗皇帝) 인산일(因山日)의 거사 계획(擧事計劃)을 감행키 위해 병인의용대(丙寅義勇隊) 대원 김석용(金碩龍), 김광손(金光孫), 고준택(高俊澤) 등과 국내로 들어오다가 피체(被逮)되어 자결 순국(自決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이덕삼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이덕삼
한자명
李德三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미상 ~ 미상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고종 인산(高宗因山)을 계기로 대대적인 독립운동을 전개하고 세칭(世稱) 오적칠적(五賊七賊)을 암살코저 만주(滿洲)에서 조직된 274결사대원으로 입국 활약타가 실패하자 체포망을 뚫고 만주(滿洲)로 도피 (동지 8명 피체(被逮)) (동아일보(東亞日報) 1920.9.3)

인물정보

성명
이덕생
한자명
李德生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01 ~ 1939
본적
경상북도 대구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19년 4월 대구(大邱)에서 비밀결사 "혜성단(慧星團)"을 조직하고 군자금모집 및 신한별보(新韓別報) 수천 매(數千枚)를 등사(謄寫)하여 배포(配布)하다 체포되였던 사실과 기후(其後) 중국으로 망명하여 의열단에 입단하여 활동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덕수
한자명
李德秀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미상 ~ 1940
본적
평안북도 삭주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 1919. 3. 1운동(運動)에 관계(關係)하고 만주(滿洲)로 망명(亡命) 후(後) 의민사(義民社)를 조직(組織)하여 사장(社長)에 선임되고 한족회(韓族會) 민사부장(民事部長)으로 활약하였으며 또 신흥무관학교(新興武官學校) 통화분교장(通化分校長)에 취임함. 2. 1920. 벽산대(碧山隊)를 조직(組織)하여 봉오동 전투(鳳梧洞戰鬪) 시(時) 홍범도(洪範圖)와 같이 항쟁(抗爭)함.(동대(同隊)는 후(後)에 광복군총영(光復軍總營) 제7영(營)에 개편 일명(一名) 벽파별영장(碧波別營長)임) 3. 1921. 서로군정서(西路軍政署)를 조직(組織)하여 부관(副官)에 임명(任命)됨. 4. 1921. 벽창청년의용대(碧昌靑年義勇隊)를 양승우(楊承雨)와 같이 조직(組織)하여 총지휘(總指揮)에 임명(任命)됨. 5. 1922. 통군부(統軍府)를 조직(組織)하여 중앙위원 겸(中央委員兼) 군사부 차장(軍事部次長)에 임명(任命)됨. 6. 1922. 7 時事策進會(시사책진회)에 참석(參席)함. 7. 1924. 9. 9. 벽파의용대장(碧波義勇隊長)으로써 벽창의용대장(碧昌義勇隊長) 양승우(楊承雨)와같이 창성(昌成) 갑암출장소(甲岩出張所)를 습격하여 출장소(出張所)를 전소(全消)시킴. 8. 1925. 정의부(正義府)를 조직(組織)하여 중앙위원(中央委員)에 임명(任命). 9. 1925. 9. 24 상해 임정 국무령(上海臨政國務領) 이상룡(李相龍)의 특별경비대장(特別警備隊長)으로써 임정(臨政)에 반항(反抗)하여 방총(放銃)한 김경창(金慶昌)을 체포하여 내무부(內務部)에 송치(送致)함. 10. 1925. 10. 9 평북(平北) 독판(督辦)에 임명(任命)됨. 11. 1925. 12. 10. 이벽산(李碧山) 등 19인(人)이 반정부(反政府)음모사건(事件) 조사공개청원서(調査公開請願書)를 국무령(國務領) 앞에 제출(提出)하다. 12. 그 후(後) 만주(滿州)로 복귀(復歸)하여 사도만쾌대묘자(四道滿快大廟子)에 농장을 설립하여 둔병지계(屯兵之計)하다가 1940. 밀정(密偵)에 밀고(密告)로 체포되어 항매불굴이사(抗罵不屈而死)하다. 이상(以上) 각(各) 항(項) : 철성이씨백세이감서(鐵城李氏百世彛鑑序) 권6(卷之六) p.14 「삭주순국의열사전(朔州殉國義烈士傳)」 철성문고제2집(鐵城文庫第二輯) 이씨역사(李氏繹史) 권7(卷之七) p.63~66, p.142

인물정보

성명
이덕수
한자명
李德洙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8 ~ 미상
본적
함경남도 단천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20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10일 함남 단천군 단천시장에서 염원형(廉元亨) 등이 주도한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여 천도교도들과 함께 독립만세를 외치며 읍내를 행진하는 등의 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징역 8월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이덕숙
한자명
李德淑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94 ~ 1960
본적
경상북도 안동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15년 만주(滿州) 서간도(西間島)로 망명(亡命) 신흥무관학교(新興武官學校)를 졸업(卒業)하고 통의부(統義府)의 일원(一員)으로 국내에 잠입(潛入)하여 일본인 기관(日本人機關) 파괴(破壞) 및 군자금 모집(軍資金募集) 등 활동하다가 일경(日警)에게 체포되어 대구지방법원(大邱地方法院)에서 징역 3년형(年刑)을 언도받고 복역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덕순
한자명
李德順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79 ~ 1966
본적
경기도 진위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3.1운동에 참여하여 안성군(安城郡)에서 주동적 역할을 하여 독립만세시위와 관공서 파괴, 방화하는데 군중을 지휘하는 등 독립운동한 사실이 확인됨.

이덕순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이덕우
한자명
李德宇
운동계열
학생운동
생몰년도
1908 ~ 1950
본적
전라남도 화순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05년

공적개요

1929년 7월 초순경 광주 읍내 수피아여학교(須皮亞女學校) 뒷산에서 송동식(宋東植), 이신형(李信珩) 등과 함께 모여 비밀결사를 조직할 것을 협의하고 동년 9월 중순 수피아여학교(須皮亞女學校) 뒷산에서 장재성(張載性) 등과 만나 광주사범학교 독서회를 발족시켜 항일학생의 기초적 교양과 추진력 배양을 위해 활동하다 체포되어 징역 2년 6월(미결(未決) 70일 통산(通算))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덕조
한자명
李德祚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93 ~ 1925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02년

공적개요

1925년 10월 중국(中國) 요녕성(遼寧省) 관전현(寬甸縣) 대황구(大荒溝) 보수곡(保水谷) 강안(江岸)에서 일본수색대(日本搜索隊)의 의뢰를 받은 중국(中國) 안동현(安東縣) 수상경찰(水上警察) 제5순함(巡艦)과 교전하다 전사 순국(戰死殉國)한 사실(事實)이 확인(確認)됨.

인물정보

성명
이덕주
한자명
李德周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7 ~ 1970
본적
경상북도 대구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2년

공적개요

1919.3.10 대구(大邱) 남문 외(南門外) 장날에 박남준(朴南俊), 김재소(金在炤) 등과 ‘대한독립만세(大韓獨立萬歲)’라고 대서특필한 태극기를 높이 들고 독립만세를 고창하며 수백명의 군중을 선도하다가 피체되어 징역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성명 한자명 생몰년도 운동계열 포상훈격 생존여부 본적 보기

성명

이덕민

한자명

李德敏

생몰년도

1867 ~ 1924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08건국포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남도 연기

자세히 보기

성명

이덕산

한자명

李德山

생몰년도

1919 ~ 2002

운동계열

광복군

포상훈격

1990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남도 서산

자세히 보기

성명

이덕삼

한자명

李德三

생몰년도

1904 ~ 1926

운동계열

중국방면

포상훈격

1995독립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평안북도 철산

자세히 보기

성명

이덕삼

한자명

李德三

생몰년도

미상 ~ 미상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이덕생

한자명

李德生

생몰년도

1901 ~ 1939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대구

자세히 보기

성명

이덕수

한자명

李德秀

생몰년도

미상 ~ 1940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평안북도 삭주

자세히 보기

성명

이덕수

한자명

李德洙

생몰년도

1888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20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함경남도 단천

자세히 보기

성명

이덕숙

한자명

李德淑

생몰년도

1894 ~ 1960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0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안동

자세히 보기

성명

이덕순

한자명

李德順

생몰년도

1879 ~ 1966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기도 진위

자세히 보기

성명

이덕우

한자명

李德宇

생몰년도

1908 ~ 1950

운동계열

학생운동

포상훈격

2005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남도 화순

자세히 보기

성명

이덕조

한자명

李德祚

생몰년도

1893 ~ 1925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2002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이덕주

한자명

李德周

생몰년도

1897 ~ 1970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2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대구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