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인물별 검색

TOTAL. 17,824

인물정보

성명
이교담
한자명
李交倓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80 ~ 1936
본적
서울 서울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9년

공적개요

1903년 미국(美國) 하와이에서 구국정신을 고취하기 위해 신민회(新民會)를 조직하였고 1905년 샌프란시스코에서 결성된 공립협회(共立協會)의 대의원(代議員) 겸 동 협회의 기관지인‘공립신보(共立新報)’의 주필(主筆)로 활동하였으며 1908년경 귀국하여 대한매일신보사(大韓每日申報社)에 입사하여 언론활동을 전개하는 한편 이재명(李在明) 등과 함께 이완용(李完用) 등 매국적(賣國賊) 처단(處斷)을 계획, 실행한 혐의로 피체(被逮)되었다가 불기소(不起訴)로 석방된 사실이 확인됨.

이교담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이교덕
한자명
李敎悳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95 ~ 1955
본적
경상북도 영주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08년

공적개요

1915년 8월경 경북(慶北) 영주군(榮州郡) 영주시장(榮州市場)에 설립된 대동상점(大同商店) 경영에 참여하면서 만주지역 독립운동기지 건설을 위한 활동에 매진하다가 1918년 3월경 체포되어 동년 6월 복심법원에서 무죄(無罪)로 석방되기까지 3개월(個月) 여(餘) 옥고(獄苦)를 치르고, 1924년 1월 18일 중국(中國) 북경(北京)에서 중국관헌이 국민대표회(國民代表會) 군정서(軍政署) 대표(代表) 이중호(李重浩), 정인교(鄭仁敎) 등이 소지한 국민대표회의(國民代表會議) ‘선포문’(宣布文)을 압수한 사건에 연루되어 체포되었다가 다음날 석방되었으며, 1929년 4월부터 상해(上海)에서 최창식(崔昌植)이 경영하는 인쇄소에서 공산주의에 관련된 문건 등을 인쇄하는 등의 활동을 하다가 1930년 5월 체포되어 서울로 압송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교륜
한자명
李敎倫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7 ~ 1978
본적
경상남도 진주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1993년

공적개요

1919. 3. 22∼23의 양일간 경남 진주읍 진주면에서 김영재(金榮在)와 함께 만세시위 거사를 계획하고 「조선총대장(朝鮮總大將) 박모(朴某)가 조선 13도를 조직하려고 하니 만민은 여기에 열복(悅服)하고 충절을 다하여 왜적에게 모멸당하지 말자」라는 내용의 「조선독립완문서(朝鮮獨立完文書)」 수매를 작성하여 이를 진주읍내(晉州邑內) 법원지청(法院支廳) 앞 전주(電柱) 및 기타요소에 붙이고 각(各) 리(里) 구장(區長)은 군중들을 규합, 인솔하고 진주읍(晉州邑) 시위운동에 적극 참가하여 독립을 달성하자는 내용의「조선독립협력의뢰서(朝鮮獨立協力依賴書)」 10여매를 제작하여 인근 각 면장(面長), 구장(區長)들에게 송부하여 만세시위에 참여를 촉구하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 10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교선
한자명
李敎善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2 ~ 1941
본적
충청남도 청양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04년

공적개요

1919년 4월 5, 6일 충남(忠南) 청양군(靑陽郡) 정산시장(定山市場)에서 300여명의 군중과 함께 독립만세운동을 전개하였다가 일경(日警)에게 체포되어 태(笞) 90도(度)를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교설
한자명
李敎卨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0 ~ 미상
본적
충청북도 음성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08년

공적개요

1919년 4월 5일 충북(忠北) 음성군(陰城郡) 원남면(遠南面) 보천시장(甫川市場)에서 대한독립만세를 고창하다 체포되어 태(笞) 90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교식
한자명
李敎植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85 ~ 1945
본적
황해도 연백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19. 3월 황해(黃海) 연백군(延白郡) 유곡면(柳谷面) 영성리(永成里)에서 독립운동가 은닉(獨立運動家隱匿) 등으로 체포(逮捕)되어 징역 3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교열
한자명
李敎悅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1 ~ 미상
본적
충청남도 홍성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13년

공적개요

1919년 4월경 충남(忠南) 홍성군(洪城郡)에서 독립만세운동에 참가하다 체포되어 태(笞) 90도(度)를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교영
한자명
李敎瑛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78 ~ 1950
본적
경상남도 마산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06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28일 경남(慶南) 창원군(昌原郡)(현 마산시(馬山市)) 진전면(鎭田面) 고현시장(古縣市場)에서 장날을 기하여 일어난 독립만세시위 운동에 참가하여 활동하다가 주동인물로 체포되어 태(笞) 90도(度)를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이교영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이교영
한자명
李敎永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73 ~ 1911
본적
경상북도 영천
포상훈격
독립장
포상년도
1995년

공적개요

의병장(義兵將)으로서 1908. 12 - 1909. 10월 경북(慶北) 순흥(順興), 풍기(豊基), 안동(安東), 영천(榮川), 예천(醴泉)등지에서 일본군과 교전하고 군자금을 모집하며 일군(日軍) 밀정(密偵)을 처단하는 등 활동(活動)하다 피체(被逮)되어 교형(絞刑)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이교영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이교영
한자명
李喬榮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60 ~ 1942
본적
충청남도 공주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20년

공적개요

1919년 4월경 충남 공주군(公州郡) 공주면(公州面)에서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여 만세시위를 벌이는 등의 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불기소 처분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이교옥
한자명
李敎玉
운동계열
학생운동
생몰년도
1910 ~ 1948
본적
전라북도 정읍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19년

공적개요

1930년 1월 20일경 전북 고창군 고창고등보통학교 2학년 재학 중 광주학생운동에 호응하여 학우들과 함께 독립만세운동을 계획하다 체포되어 퇴학 처분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이교재
한자명
李敎載
운동계열
임시정부
생몰년도
1887 ~ 1933
본적
경상남도 창원
포상훈격
독립장
포상년도
1963년

공적개요

1. 3.1운동 때 경남북 일대(慶南北一帶)에 선전문 배부(宣傳文配付) 피체(被逮)되어 3년(三年) 복역(服役)(진주형무소(晋州刑務所)) 2. 상해(上海)로 망명(亡命). 임정(臨政)의 밀령(密令)으로 입국(入國) 피체(被逮)되어 5년간(年間) 복역(服役)(대구형무소(大邱刑務所)) 3. 다시 상해(上海)로 망명 도중(亡命途中) 신의주(新義州)에서 피체(被逮) 2년간(年間) 복역(服役)(서대문형무소(西大門刑務所)) 4. 상해(上海)로 망명(亡命)하였다가 재입국(再入國) 사명 수행(使命遂行) 중 피체(被逮) 1933년 2월 부산형무소(釜山刑務所)에서 복역(服役) 중 옥사(獄死)(한국독립운동사(韓國獨立運動史) p.445, 김구(金九) 위임장(委任狀))

이교재의 발자취

성명 한자명 생몰년도 운동계열 포상훈격 생존여부 본적 보기

성명

이교담

한자명

李交倓

생몰년도

1880 ~ 1936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1999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서울 서울

자세히 보기

성명

이교덕

한자명

李敎悳

생몰년도

1895 ~ 1955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08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영주

자세히 보기

성명

이교륜

한자명

李敎倫

생몰년도

1897 ~ 1978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3건국포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진주

자세히 보기

성명

이교선

한자명

李敎善

생몰년도

1892 ~ 1941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04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남도 청양

자세히 보기

성명

이교설

한자명

李敎卨

생몰년도

1880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08대통령표창

생존여부

미상

본적

충청북도 음성

자세히 보기

성명

이교식

한자명

李敎植

생몰년도

1885 ~ 1945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황해도 연백

자세히 보기

성명

이교열

한자명

李敎悅

생몰년도

1881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13대통령표창

생존여부

미상

본적

충청남도 홍성

자세히 보기

성명

이교영

한자명

李敎瑛

생몰년도

1878 ~ 1950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06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마산

자세히 보기

성명

이교영

한자명

李敎永

생몰년도

1873 ~ 1911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1995독립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영천

자세히 보기

성명

이교영

한자명

李喬榮

생몰년도

1860 ~ 1942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20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남도 공주

자세히 보기

성명

이교옥

한자명

李敎玉

생몰년도

1910 ~ 1948

운동계열

학생운동

포상훈격

2019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북도 정읍

자세히 보기

성명

이교재

한자명

李敎載

생몰년도

1887 ~ 1933

운동계열

임시정부

포상훈격

1963독립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창원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