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검색
TOTAL. 29건
-
애국지사 추모비 (세종)
애국지사 추모비는 전의장터에서 일어난 만세운동에 참여한 독립운동가들을 추모하기 위해 세워졌다. 만세운동을 주도하였던 이수욱 외에도 추경춘, 윤상원, 추득천, 윤자훈, 윤자벽, 윤상억, 윤자명, 윤상은, 이상건, 이장희, 이광희, 이수양, 이규영, 정원필, 정상복의 이름이 적혀있다.전의장터 만세운동을 주도한 이수욱(1890 - 1970)은 1919년 2월 28일 광무황제의 장례에 참석하기 위해 서울에 올라갔다가, 독립만세시위를 보고, 고향에서도 독립만세시위를 일으켜야겠다고 결심하고 3월 6일 귀향하였다. 귀향 즉시 먼저 이웃에 사는 추경춘(秋敬春)을 만나서, 그 취지를 설명하여 같이 독립만세운동을 일으키기로 합의한 다음 3월 7일에는 두 사람이 동리사람 박성교(朴聖敎)·추득천(秋得天)·윤자벽(尹滋璧)·윤상원(尹相元)·윤자훈(尹滋勳)·윤상억(尹相億)·김재주(金在周) 등과 함께 읍내리 장날인 3월 13일을 기하여 독립만세시위를 일으키기로 결정하였다. 한편 3월 8일에는 김병옥(金炳玉)의 집에서 이장희(李章熙)·이광희(李光熙)·정원필(鄭元弼) 등과 만나 다시 구체적인 계획을 세우고 장터에서 시위군중들에게 나누어 줄 태극기 약 150매를 목판을 이용하여 제작하였다. 거사일인 3월 13일 오전 9시경 읍내리 시장으로 가는 길목인 갈정리(葛井里) 고개에 나아가, 장터에 들어오는 사람들에게 미리 만들어 둔 태극기를 나누어주며, 자기가 독립선언서를 낭독하고, 독립만세를 선창하니 많은 시위군중이 이어 호응하여 장터를 행진하는 등 독립선언서를 낭독하고, 독립만세시위를 주도하다가 체포되었다. 그는 이해 6월 7일 고등법원에서 징역 1년 6월 형이 확정되어 옥고를 치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1982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
황갑수 공적비
황갑수(1921 - 2009)는 옛 충청남도 연기군 전동면 출신으로 광복군 분대장을 맡아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1945년 2월에 광복군 제 1지대에 입대하여 중국의 후난성에서 활발히 활동하면서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중국군의 일화를 알게 된 이병곤(李炳坤)은 설악 사령장관에게 애국 청년들을 후방 지역에 집결시켜 교육을 실시하게 할 것과 제 9전구를 단위로 한 광복군 편성에 협조하여 줄 것을 요청하였다. 이병곤의 요구를 설악 사령장관은 받아들였다. 1944년 각 전선에는 100여 명의 애국 청년들이 일본군에서 탈출하여 합류하였다. 청년들은 광복군으로 편성될 때까지 비호대(飛虎隊)라는 부대명으로 대장 이봉훈과 부대장 진병길을 주축(主軸)으로 하여 동지 결속 및 우군에 대한 작전 지원 활동을 계속하였다. 그리고 각종 지침에 따라 1945년 교육 훈련 도중에 각 전선으로부터 광복군 공작 요원을 파견하여 달라는 요청이 쇄도하여 부득이하게 일면 교육 일면 공작으로의 방침으로 변경하지 않을 수 없었다. 따라서 구대장 이병곤은 전재덕(全在德)·강익진(康翊鎭)·황갑수를 각각 조장(組長)으로 한 3개 공작조를 편성하는 것으로 조직을 개편하여 공작에 임하게 하였다. 황갑수가 속하여 있던 광복군의 활동은 우군의 제일선 싸움터에서 170여 명의 대원이 집결하여 전방 또는 후방 공작에 참여함으로써 우군 작전에 많은 공헌을 세웠다. 정부에서는 그의 공훈을 기리기 위하여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1982년 대통령표창)을 수여하였다.
-
전의3.1만세운동기념 조형물
전의역 인근 '전의만세길'에서 볼 수 있는 상징조형물로 2020년 12월 건립되었다. 1919년 3월 13일, 이수욱 등은 갈정리 장고개에서 전의 시장을 향하는 주민들에게 태극기를 나누어 주고 만세 시위를 주도하였다. 이 사건으로 이수욱 등은 징역 1년 6개월의 옥고를 겪었다. 이를 기념하기 위하여 만세 시위를 주도했던 애국지사 17명을 상징하는 '17각 원형 기둥' 위에 3.1 운동에 쓰인 목판본 태극기를 차용하여 나뭇결 무늬를 표현한 조형물을 건립하였다.' 한편 '전의 장터 3.1 운동'은 세종 지역에서는 가장 먼저 3.1운동이 시작된 발원지이다. 3.13일 전의면에서 시작되어 15일 전동면 23일 금남면, 26일 연동면 조치원읍, 30일 부강면, 연서면, 31일 연기면, 4월1일 장군면에서 4월20일까지 39일간 이어졌다.
-
김규열 의열비
김규열(1887-1958)은 청풍 김씨 가문으로 조치원읍 신안리 출신이다. 김규열은 1919년 당시 신안, 서창, 침산, 봉산리에서 있었던 봉화 횃불만세운동을 주도하였고 조치원 시장에서 만세를 부르다 일본 순사가 휘두른 개머리 판에 맞아 의식 불명이 되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이후 김규열은 기적처럼 깨어났으며 전답 10,000여 평 되는 전 재산을 매각하여 군자금을 조달하였고 미나미 총독을 조치원역에서 살해하려다가 경비가 삼엄하여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는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으나 입증할 수 있는 자료가 부족하여 유공자로 추서받지 못하였다. 이에 선생의 구국업적을 칭송하기 위하여 2002년 연기군 유림들이 김규열의 의열비를 건립하였고 최창규 전 독립기념관장이 발문을 썼다.
-
연기출신 독립의열명사 숭모비
연기출신독립의열명사 숭모비는 세종시 조치원읍 침산리 충령탑공원에 위치해 있다. 일제강점기 일본은 이곳에 조치원 신사를 건립하여 일본천황에게 예배하는 장소로 사용했다. 광복 후 조치원 신사를 없앴고, 6.25전쟁 이후 충령탑을 세우고 나라를 위하여 싸우가 순국하신 애국지사의 넋을 기리는 추모의 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숭모비 외에도 보훈의 빛(조형물), 충령탑, 조국통일기원비가 공원 내에 세워져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