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검색
TOTAL. 135건
-
추자도어민 대일항일기념비
추자도어민 대일항일기념비는 추자도의 어민들이 일제의 횡포와 수탈에 강력하게 저항한 2차례의 사건을 기념하는 사적이다. 제1차 어민항쟁은 1926년 5월 14일 해조류(천조) 공동판매를 강요하는 어민조합에 항거하여 예초리 어민 700여 명이 집단으로 항쟁한 일이다. 그 결과 21명이 검거되어 김종만은 징역 1년, 김학연, 김후배는 징역 8개월, 황명채 외 3명은 집행유예 2년의 형을 받았다. 제2차 어민항쟁은 1932년 5월 추자도에 거주하던 일본인 어민 사와다(澤田)가 삼치 유자망으로 추자도 어민 내수면 어장터를 침범하여 추자도어민들이 총궐기하였던 사건으로 그 결과 박천석, 원성채, 김봉수, 박병석 4명이 징역 3개월의 형을 받았다. 삶의 터전을 지키기 위한 일제강점기 추자도 어민의 숭고한 뜻을 기념비에 기록하여 후세에 남기고자 2018년 9월 추자면주민참여예산위원회가 본 비를 건립하였다.
-
이창휘 집
이창휘는 변호사로서 독립운동 관련의 수많은 '사건'에 자진 변호를 맡거나 무료 변호를 통하여 애국적 의지를 드높이는 한편 조선농민사(朝鮮農民社)의 중앙이사(中央理事)로서 농촌계몽운동에도 힘을 쏟았다. 1925년 10월 29일 천도교의 농민조직이었던 조선농민사의 창립총회에서 중앙이사로 선출된 그는 조선농민사 주최 농촌문제강연회의 주요 연사로 활약하면서 주로 농민들에게 필요한 법률상식 등을 강연하는 등 농민 계몽에 앞장 섰다. 한편 1926년 6·10 만세운동이 일어나 주동 학생들이 일제 법정에 서게 되자, 그는 이인(李仁) 등과 함께 학생들의 애국적 행동을 변론함으로써 민족 변호사의 행동을 보여 주었다. 그리고 1927년 11월 일본 삼릉회사(三菱會社)가 수력전기회사를 설립하기 위해 일경을 앞세워 한국인의 토지를 강제 매수하려 하자, 허헌(許憲)과 함께 법률투쟁을 전개하여 토지침탈을 저지시키는 쾌거를 올렸다. 또한 1928년 경남 도청년연맹(道靑年聯盟)의 항일투쟁이 발각되어 관련자들이 법정에 서게 되었을 때 자진하여 변호를 섰으며, 1929년 4월 공명단(共鳴團)의 단원들이 군자금 모집을 위해 망우리에서 일제의 우편물 수송차를 습격하다가 붙잡힌 '공명단 의거'의 공판에서도 이인·허헌과 함께 민족적 입장에서 변호하였다. 그는 '조선공산당 사건'과 광주학생운동, '간도공산당 사건'등 사회주의 계열 운동의 변호를 많이 맡아 사상변호사로도 이름을 날렸다. 그러던 중 과로로 인하여 병을 얻어 1934년 9월 9일에 서거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5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
이창휘 흉상
이창휘는 변호사로서 독립운동 관련의 수많은 '사건'에 자진 변호를 맡거나 무료 변호를 통하여 애국적 의지를 드높이는 한편 조선농민사(朝鮮農民社)의 중앙이사(中央理事)로서 농촌계몽운동에도 힘을 쏟았다. 1925년 10월 29일 천도교의 농민조직이었던 조선농민사의 창립총회에서 중앙이사로 선출된 그는 조선농민사 주최 농촌문제강연회의 주요 연사로 활약하면서 주로 농민들에게 필요한 법률상식 등을 강연하는 등 농민 계몽에 앞장 섰다. 한편 1926년 6·10 만세운동이 일어나 주동 학생들이 일제 법정에 서게 되자, 그는 이인(李仁) 등과 함께 학생들의 애국적 행동을 변론함으로써 민족 변호사의 행동을 보여 주었다. 그리고 1927년 11월 일본 삼릉회사(三菱會社)가 수력전기회사를 설립하기 위해 일경을 앞세워 한국인의 토지를 강제 매수하려 하자, 허헌(許憲)과 함께 법률투쟁을 전개하여 토지침탈을 저지시키는 쾌거를 올렸다. 또한 1928년 경남 도청년연맹(道靑年聯盟)의 항일투쟁이 발각되어 관련자들이 법정에 서게 되었을 때 자진하여 변호를 섰으며, 1929년 4월 공명단(共鳴團)의 단원들이 군자금 모집을 위해 망우리에서 일제의 우편물 수송차를 습격하다가 붙잡힌 '공명단 의거'의 공판에서도 이인·허헌과 함께 민족적 입장에서 변호하였다. 그는 '조선공산당 사건'과 광주학생운동, '간도공산당 사건'등 사회주의 계열 운동의 변호를 많이 맡아 사상변호사로도 이름을 날렸다. 그러던 중 과로로 인하여 병을 얻어 1934년 9월 9일에 서거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5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
조무빈 송덕비
조무빈(1886 - 1952)은 제주에서 3.1만세운동에 참여하였다. 제주도의 3.1만세운동은 신좌면 조천리에서 시작되었다. 조천리의 김장환(金章煥)은 서울 휘문학교 재학생으로 서울에서 만세운동에 참가하였다가 3월 15일 서울을 떠나 고향으로 돌아와서 동지를 규합하였다. 3월 21일 오후 3시경 ‘미밑동산’에서 「독립선언서」 낭독이 끝나고 김장환이 앞에 나서서 대한독립만세를 소리 높여 외치니 군중은 감격의 만세소리를 질렀다. 그러나 황급히 달려온 수십 명의 일본 무장대에 의해 시위군중은 해산되고 주동자들은 일본 경찰에 체포되었다. 조천리를 중심으로 3.1운동이 전개된 이후, 구우면을 중심으로 제주도의 서당 생도들을 모아 시위운동을 전개하려는 격문사건이 발생하였다. 구우면 저지리(楮旨里)의 서당 훈장 박세현(朴世賢)과 낙천리(樂天里)의 훈장 조무빈과 김여석(金汝錫) 등은 의기투합하여 거사 전에 ‘항일의거의 고사(告祀)’라는 제천의식을 거행하였다. 그리고 일제를 타도해야 한다는 내용을 담아 전 도민들의 궐기를 촉구하게 하는 격문을 작성하였다. 그리고 많은 사람이 볼 수 있는 장소에 격문을 붙이다가 발각되어 체포되었다. 이처럼 조무빈도 만세시위운동을 전개하려는 격문을 붙이다 일본 경찰에 체포되었다. 1919년 10월 15일 광주지방법원(光州地方法院) 제주지청에서 이른바 ‘정사범(政事犯)’으로 징역 1년, 집행유예 2년 6개월을 선고받았다. 정부는 2018년에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
김여석 송덕비
김여석(1893 - 1961)은 제주도의 3.1만세운동에 참여하였다. 1919년 3·1운동이 전국적으로 파급 확산되자, 제주도내 서당 생도들을 모아 만세시위를 전개할 것을 계획하였다. 제주도에서는 신좌면(新左面, 현재 조천읍) 조천리(朝天里)에서 3월 21일 이래 만세운동이 일어난 바 있다. 당시 구우면(舊右面, 현재 한림읍) 낙천리(樂泉里)에서 서당 훈장으로 있던 그는 도내 서당 생도들을 중심으로 하는 만세운동을 계획하였다. 그는 같은 동리의 서당 훈장 조무빈(趙武彬), 저지리(楮旨里)의 서당 훈장 박세현(朴世賢), 신좌면 조천리의 서당 훈장 신계선(愼啓善) 등과 연계하여 격문을 작성하고 배포하였다. 그는 거사에 앞서 고사를 지내고 격문을 붙이다가 일경에 체포되어 1919년 10월 15일 광주지방법원 제주지청에서 소위 제령(制令) 제7호 및 도수규칙(屠獸規則) 위반으로 징역 3년(미결구류 30일 통산)을 선고받고 옥고를 치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려 2005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
양두옥 묘
양두옥(1914 - 1966)은 제주(濟州) 사람이다. 1931년 3월 9일 제주농업학교(濟州農業學校) 3학년에 재학 중 부당하게 유급(留級)당하자 학교를 습격 교장을 구타하고 학교기물을 파괴하다 붙잡혀 1932년 3월 1일 대구복심법원에서 소위 폭력행위 등 처벌에 관한 법률위반으로 징역 1년에 집행유예 5년을 받았다. 같은 해 3월 제주도(濟州島) 구우면(舊右面) 신창리(新昌里)에서 5인조 비밀결사를 조직하여 농민부(農民部)를 맡아 활동하였으며, 5월 1일 서당학생 100여 명을 규합하여 시위행진을 하였다. 8월에는 신창리(新昌里) 등 4개 리(里) 부락민대회(部落民大會)에 참석하여 신창서당(新昌書堂)의 공립보통학교(公立普通學校) 승격(昇格)을 통한 식민지교육에 항거하는 연설을 하였고, 일제의 강압적인 면행정(面行政)에 대한 반대투쟁을 전개하기도 하였다. 그러던 중 1934년 일경에 붙잡힌 그는 오랜 미결기간을 거쳐 1937년 4월 12일 광주지방법원 목포지청에서 소위 치안유지법 위반으로 징역 1년 6월을 받고 옥고를 치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3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
김재형 추모비
김재형(1863 - 1920)은 1909년 제주 구우면(舊右面) 두모리(頭毛里) 이장(里長)으로, 의병장 고사훈(高仕訓, 高承天)의 의병봉기를 독려하는 격문에 찬성하여 마을주민 200여 명을 소집하고 의병봉기에 호응할 준비를 하던 중 체포되었다. 제주 출신의 고사훈은 1908년 김석윤(金錫允)ㆍ노상옥(盧尙玉)과 함께 전남 장성(長城)의 기우만(奇宇萬)ㆍ기삼연(奇參衍)에게 제주 및 광양(光陽)에서 무기를 은밀히 제조하여 공급하는 한편, 의병을 모집하여 황사평(黃蛇坪)에서 훈련시킨 후 의거의 기치를 올렸다. 그는 김석윤을 의병대장으로 추대하고 자신은 참모(參謀) 및 모병책(募兵責)을 맡았다. 김재형은 고사훈ㆍ이중심(李中心) 등이 발한 격문에 따라 1909년 2월 28일과 3월 1일에 의병을 모아 출병을 준비하고 있던 중, 제주경찰서에서 파견된 순사에게 체포되었다. 압수된 사발통문은 '왜인을 타살함은 그 인민을 편안하게 하기 위함이다', '지금 의병을 모아 만인이 우리 조선의 옛 제도를 복구하자'는 내용이었다. 김재형은 1909년 4월 2일 광주지방재판소에서 이른바 내란미수죄(內亂未遂罪)로 유형(流刑) 3년을 받았다. 정부는 고인의 공훈을 기려 2014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
이창휘 구 묘
이창휘(1897~1934)는 제주(濟州) 사람이다. 변호사로서 독립운동 관련의 수많은 '사건'에 자진 변호를 맡거나 무료 변호를 통하여 애국적 의지를 드높이는 한편 조선농민사(朝鮮農民社)의 중앙이사(中央理事)로서 농촌계몽운동에도 힘을 쏟았다. 1925년 10월 29일 천도교의 농민조직이었던 조선농민사의 창립총회에서 중앙이사로 선출된 그는 조선농민사 주최 농촌문제강연회의 주요 연사로 활약하면서 주로 농민들에게 필요한 법률상식 등을 강연하는 등 농민 계몽에 앞장섰다. 한편 1926년 6·10 만세운동이 일어나 주동 학생들이 일제 법정에 서게 되자, 그는 이인(李仁) 등과 함께 학생들의 애국적 행동을 변론함으로써 민족 변호사의 행동을 보여 주었다. 그리고 1927년 11월 일본 삼릉회사(三菱會社)가 수력전기회사를 설립하기 위해 일경을 앞세워 한국인의 토지를 강제 매수하려 하자, 허헌(許憲)과 함께 법률투쟁을 전개하여 토지침탈을 저지시키는 쾌거를 올렸다. 또한 1928년 경남 도청년연맹(道靑年聯盟)의 항일투쟁이 발각되어 관련자들이 법정에 서게 되었을 때 자진하여 변호를 섰으며, 1929년 4월 공명단(共鳴團)의 단원들이 군자금 모집을 위해 망우리에서 일제의 우편물 수송차를 습격하다가 붙잡힌 '공명단 의거'의 공판에서도 이인·허헌과 함께 민족적 입장에서 변호하였다. 그는 '조선공산당 사건'과 광주학생운동, '간도공산당 사건'등 사회주의 계열 운동의 변호를 많이 맡아 사상변호사로도 이름을 날렸다. 그러던 중 과로로 인하여 병을 얻어 1934년 9월 9일 서거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5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
조무빈 묘
조무빈(1886 - 1952)은 제주에서 3.1만세운동에 참여하였다. 제주도의 3.1만세운동은 신좌면 조천리에서 시작되었다. 조천리의 김장환(金章煥)은 서울 휘문학교 재학생으로 서울에서 만세운동에 참가하였다가 3월 15일 서울을 떠나 고향으로 돌아와서 동지를 규합하였다. 3월 21일 오후 3시경 ‘미밑동산’에서 「독립선언서」 낭독이 끝나고 김장환이 앞에 나서서 ‘대한독립만세’를 소리 높여 외치니 군중은 감격의 만세소리를 질렀다. 그러나 황급히 달려온 수십 명의 일본 무장대에 의해 시위군중은 해산되고 주동자들은 일본 경찰에 체포되었다. 조천리를 중심으로 3.1운동이 전개된 이후, 구우면을 중심으로 제주도의 서당 생도들을 모아 시위운동을 전개하려는 격문사건이 발생하였다. 구우면 저지리(楮旨里)의 서당 훈장 박세현(朴世賢)과 낙천리(樂天里)의 훈장 조무빈과 김여석(金汝錫) 등은 의기투합하여 거사 전에 ‘항일의거의 고사(告祀)’라는 제천의식을 거행하였다. 그리고 일제를 타도해야 한다는 내용을 담아 전 도민들의 궐기를 촉구하게 하는 격문을 작성하였다. 그리고 많은 사람이 볼 수 있는 장소에 격문을 붙이다가 발각되어 체포되었다. 이처럼 조무빈도 만세시위운동을 전개하려는 격문을 붙이다 일본 경찰에 체포되었다. 1919년 10월 15일 광주지방법원(光州地方法院) 제주지청에서 이른바 ‘정사범(政事犯)’으로 징역 1년, 집행유예 2년 6개월을 선고받았다. 정부는 2018년에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
김정맹 묘
김정맹(1917 - 1969)은 제주(濟州) 사람이다. 1932년 3월 하순경 구우면(舊右面) 신창리(新昌里) 북해안 축항(北海岸築港) 부근에서 김두진(金斗進)·고자봉(高子奉)과 같이 5인조 결사(結社)를 조직하여 소년부서를 담당하고 4월 30일에는 메이데이 기념 시위운동을 계획하였으며 5월 1일 서당학생 100여명을 규합하여 구우면 용수리(龍水里)에서 시위행진을 주동하였다. 1933년 8월 상순경 신창리 서당의 공립보통학교로의 전환과 식민지 교육에 반대하는 연설을 하여 주민의 여론을 환기시키면서 김윤옥(金允玉)과 함께 소녀야학회(少女夜學會)를 개설하여 재학생들에게 연 25회에 걸쳐 독립정신 고취를 위한 연설을 하다 일경에 붙잡혔다. 1937년 4월 12일 광주지방법원 목포지청에서 징역 1년 6월형을 선고받고 옥고를 치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
귀덕리출신 항일독립항쟁기
그는 1919년 5월 만세시위가 전국적으로 확산되자 제주도에서도 이에 호응하여 만세시위를 펼 것을 동료 기독교인들과 협의하던 중, 서울에서 밀파된 독립희생회(獨立犧牲會) 연락원 김창규(金昌圭)와 접선하게 되었다. 이에 평소 뜻을 나누던 동지인 김창국(金昶國)·최정식(崔靜植)·김창언(金昌彦) 등을 소개하고 이들과 함께 독립회생회 제주도지방조직을 결성하였다. 이들은 회원 1인당 2원씩 독립군자금 헌납을 결심하고 최정식의 집에서 임시정부헌장(臨時政府憲章)과 해외통신문(海外通信文) 등을 등사하여 전 도내에 배포하며 군자금 수합활동을 폈다. 그러나 1919년 7월에 이 사실이 일경에 노출당하여 그와 최정식·김창국·문창래(文昌來)·이도종(李道宗)·김창언 등 관련자 60여명이 붙잡혔다. 그는 사건의 중대성과 동지들의 희생을 최소한으로 막기 위하여 스스로 제주도 내의 군자금모집 총책임자라고 자처하였다. 이에 따라 그는 동년 11월 12일 대구복심법원에서 징역 1년형을 확정·선고받고 대구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르던 중 가혹한 고문의 여독으로 옥중 순국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국장(1977년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
조봉호 추모비
조봉호(1884 - 1920)는 제주 사람이다. 그는 1919년 5월 만세시위가 전국적으로 확산되자 제주도에서도 이에 호응하여 만세시위를 펼 것을 동료 기독교인들과 협의하던 중, 서울에서 밀파된 독립희생회(獨立犧牲會) 연락원 김창규(金昌圭)와 접선하게 되었다. 이에 평소 뜻을 나누던 동지인 김창국(金昶國)·최정식(崔靜植)·김창언(金昌彦) 등을 소개하고 이들과 함께 독립회생회 제주도지방조직을 결성하였다. 이들은 회원 1인당 2원씩 독립군자금 헌납을 결심하고 최정식의 집에서 임시정부헌장(臨時政府憲章)과 해외통신문(海外通信文) 등을 등사하여 전 도내에 배포하며 군자금 수합활동을 폈다. 그러나 1919년 7월에 이 사실이 일경에 노출당하여 그와 최정식·김창국·문창래(文昌來)·이도종(李道宗)·김창언 등 관련자 60여명이 붙잡혔다. 그는 사건의 중대성과 동지들의 희생을 최소한으로 막기 위하여 스스로 제주도 내의 군자금모집 총책임자라고 자처하였다. 이에 따라 그는 동년 11월 12일 대구복심법원에서 징역 1년형을 확정·선고받고 대구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르던 중 가혹한 고문의 여독으로 옥중 순국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국장(1977년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