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검색
TOTAL. 431건
-
은상이샘(이은상 우물)
이은상(1903~1982)은 1928년에 계명구락부의 조선어사전 편찬위원으로 활약하였다. 1929년에는 월간잡지 『신생(新生)』의 편집장으로 활동하였다. 1931년 6월부터 동아일보에 35회에 걸쳐 빼앗긴 조국의 국토와 문화재에 얽힌 심정을 술회한 「향산유기(香山遊記)」를 연재하며 민족의식을 고취하였다. 1934년 5월 진단학회(震檀學會) 창립의 발기인으로 참가했다. 1934년 국가적 인재를 양성할 교육기관으로 양사원(養士院)을 설치할 것을 이극노(李克魯)·안호상(安浩相)·이윤재(李允宰) 등과 추진하였다. 1937년에 조선일보에 「한라산 등반기(漢拏山登攀記)」, 1938년에 「지리산 탐험기(智異山探險記)」를 발표하여 민족의식을 고취하였다. 또한 1938년에 조선일보의 주간으로 있으면서 일본군의 명칭을 「아군(我軍)」, 「황군(皇軍)」으로 표기하는 것을 반대하고 동년 6월에 사직하였다. 1942년 10월에 일제가 한국민족 말살정책의 일환으로 한국어 말살정책을 대폭 강화하고 한글 연구자들을 탄압하기 위하여 만들어 낸 조선어학회운동(朝鮮語學會運動)으로 구속되어 함경남도 홍원경찰서와 함흥경찰서에서 일제의 잔혹한 고문과 악형을 받았으며, 1943년 9월 18일 함흥지방법원에서 기소유예로 석방되었으나, 실질적으로 1년간의 옥고를 겪었다. 일제강점기간에 한국민족 고유의 시조(時調) 분야에서 우수한 작품을 창작하여 민족문화의 발전에 기여하였다.정부에서는 그의 공훈을 인정하여 1990년에 건국훈장 애국장(1977년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
마산형무소 표지석
마산형무소는 1909년 부산감옥소 마산분감으로 출발하여 일제 때 수많은 독립운동가가 이곳에서 옥살이를 하다 순국했다. 투옥된 사람들은 농민, 노동자, 학생, 민족주의자, 사회주의자 등 다양한 계층과 계급이 있었다. 경상남도 지역의 3·1 운동에 참여했던 사람들이 마산 감옥에 투옥되었다. 이외에 마산 감옥에 투옥된 사람들과 관련된 사건들은 다음과 같다. 마산에서 발생한 청산리 전투 승전보 배포 사건, 밀양 경찰서 폭탄 투하 사건, 동양 제사 주식회사 진해 공장 노동자 쟁의 사건, 반일 문학 그룹 독서회 사건, 교사들의 신사 참배 반대 사건 등이었다. 이외에도 노동·농민 운동, 조직 운동과 관련된 많은 사람들이 마산 감옥에서 고통스러운 시간들을 보내기도 했다.
-
삼성병원 표지석
경상남도 최초 의료기관의 터전 표지석은 창원시 마산합포구 동성동 창동공영주차장 옆에 위치해 있다. 경상남도 최초 의료기관은 삼성병원으로 원장 김형철이 개원하였다. 마산삼성병원은 지전 김형철(1891~1965)이 1918년 10월에 지금의 마산합포구 남성로 131 (현 한국투자증권 마산지점)에 개원한 경남 최초의 한국인 병원이다. 이 병원은 개원 4개월만인 1919년 3월 20일 함안 군복 독립운동과 4월 3일 마산삼진연합 독립운동 당시에 부상당한 수많은 독립 운동가들을 돈을 받지 않으며 헌신적으로 치료하고, 이후 40여년동안 경남도민들에게 인술을 베푼 뜻깊은 곳이다.
-
마산항일운동기념탑
마산항일운동기념탑은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완월동 마산고등학교 내에 위치해 있으며, 1994년 3월 1일 마산공립중학교 항일운동 기념사업추진회가 건립하였다. 1943년 일제강점기 마산공립중학교 시절 재학생 김희구, 조우식이 경남학생건국회란 비밀결사를 조직하여 활동하다 체포되어 치안유지법 위반으로 인천형무소에서 복역 중 김희구는 모진 고문 끝에 옥사하고 조우식은 조국광복과 함께 석방되었다. 그리고 1944년에는 재학생 김학득, 강순중, 박기병, 박후식, 감영재, 조인섭, 강정중이 해외 독립운동 상황과 정보를 입수하는 한편 가능한 시기에 외국에 탈출하여 독립운동에 투신할 목적으로 마산독립단을 결사하여 활동하다 그해 7월에 발각되어 치안유지법 위반으로 13개월 동안 마산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루다가 8.15 해방으로 석방되었다.
-
마산헌병분견소
마산헌병분견소는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월남동에 있는 옛 일본군 헌병 분견대 건물이다. 이 건물은 일제 강점기에 마산 지역 독립 운동가들이 잡혀와 고초를 겪었던 근대사의 질곡을 보여 주는 역사의 현장으로 일제의 탄압과 무단 통치를 상징한다. 마산헌병분견소는 김해·웅천·진해·진동·배둔·장목 등 7개 분견소를 관할하면서 마산 뿐만 아니라 경남 인근지역에서 활동하던 많은 애국지사들을 탄압하던 곳으로, 3·1운동 당시에는 시위 진압을 위해 삼천포 지역까지 헌병이 파견되었다. 구 마산헌병 분견대는 옛 일본군 헌병 분견대 건물로, 일제 강점기 중반인 1926년에 붉은 벽돌로 지었다. 일본 군대의 마산 진출은 1905년 5월 마산선(馬山線) 철도가 건설될 때 시작되었다. 1909년 12월에 대구 주둔 일본군 헌병 분견소가 신마산에 설립되었고, 3·1 운동 후인 1920년에 이르러 일제는 헌병 경찰제를 보통 경찰제로 바꾸어 경찰이 치안을 맡도록 했다. 해방 후 군 정보기관 건물로 사용되던 헌병분견소 건물은 충호회 경남지부에서 사용하다가 2005년 등록문화제 제198호로 지정된 이후 현재까지 비어 있는 상태다.
-
마산노동야학 표지석
마산 노동야학터는 개항기 경상남도 마산 지역에 국내 최초로 설립되었던 비정규 교육 기관으로, 일제 강점기 교육 시설의 부족과 민중의 극심한 생활 궁핍으로 대다수 아동과 젊은이들이 정규 학교 교육을 받을 수 없는 현실 속에서 초등 교육 기관으로서의 구실을 담당하였다. 마산 노동 야학의 교장은 옥기환 선생이었으며, 처음 학생 수는 20~30여 명에 불과하였다. 학생들은 주로 어시장 어물상의 고용원이나 공장 노동자, 농민, 도시 빈민의 아이들이었으며 수업 연한은 1년이었다. 교과목은 조선어, 일본어, 한문 등이었는데, 조선어를 주로 가르쳤다. 교사들은 대부분 창신 학교의 교사들이었으나 김철두, 명도석, 김용환 등과 같은 청년 지식인도 노동 야학의 교사로 참여하였다. 이들은 민중의 각성과 계몽이 독립을 위한 첫걸음이라는 인식으로 보수 없이 무료로 교육을 담당하였다. 노동 야학은 수업료를 받지 않았을 뿐 아니라 교재 등도 무료로 지급하였다. 1914년 10월에는 기존의 교사를 대신하여 마산시 창동에 교실 여섯 개의 새로운 교사를 신축하였는데, 이것은 옥기환 선생이 주도적으로 나서 1300원의 거금을 조달하여 보다 많은 학생이 신교육을 받을 수 있게 하였다.
-
명도석 집
명도석(1885~1954)는 1919년 3월 12일 경남 마산의 만세시위를 추진하기 위해 최용규(崔龍奎) 등과 사전협의하여 3월 21일 마산 장날에 거사하기로 작정하고 시위를 위한 자금을 지원하는 한편 태극기와 '대한독립'이라고 쓴 큰 깃발을 앞세우고 독립만세를 고창(高唱)하며 행진 시위하게 하였다. 1921년 7월 20일 마산 노동야학의 교사가 되어 청소년들에게 한글을 가르쳐주며 항일교육에 힘썼다. 1929년 1월 28일 신간회 마산지회 정기총회에서 지회장(支會長)으로 선임되었으며, 1930년 3월 31일 제3회 정기총회에서 집행위원이 되어 신간회(新幹會) 해소시까지 활동하였다. 1940년 2월 일제는 창씨개명(創氏改名)을 강요하였으나 끝까지 거부함으로써 민족정신을 고수하였다. 1944년 8월 그는 여운형(呂運亨)의 주도로 전국에 걸쳐 결성된 건국동맹(建國同盟) 경상남도 조직책으로 위촉되어 활동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
-
명도석 묘
명도석(1885 - 1954)는 1919년 3월 12일 경남 마산의 만세시위를 추진하기 위해 최용규(崔龍奎) 등과 사전협의하여 3월 21일 마산 장날에 거사하기로 작정하고 시위를 위한 자금을 지원하는 한편 태극기와 '대한독립'이라고 쓴 큰 깃발을 앞세우고 독립만세를 고창(高唱)하며 행진 시위하게 하였다. 1921년 7월 20일 마산 노동야학의 교사가 되어 청소년들에게 한글을 가르쳐주며 항일교육에 힘썼다. 1929년 1월 28일 신간회 마산지회 정기총회에서 지회장(支會長)으로 선임되었으며, 1930년 3월 31일 제3회 정기총회에서 집행위원이 되어 신간회(新幹會) 해소시까지 활동하였다. 1940년 2월 일제는 창씨개명(創氏改名)을 강요하였으나 끝까지 거부함으로써 민족정신을 고수하였다. 1944년 8월 그는 여운형(呂運亨)의 주도로 전국에 걸쳐 결성된 건국동맹(建國同盟) 경상남도 조직책으로 위촉되어 활동하였다.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
-
손연준 순교기념비
손연준(1902~1950)은 기독교 목회자로서 신사참배(神社參拜)를 반대하며 항일투쟁을 전개하였다. 평소 항일의식이 투철하던 그는 1915년 칠원보통학교 재학시절부터 신사참배를 거부하였으며, 1919년 3·1운동 때에서는 서울의 중동학교 재학 중 만세시위에 참가했다가 퇴학을 당하였다. 이후 신학교(神學校)에 진학한 그는 신학교 졸업반 때인 1938년 기독교계가 일제의 신사참배 강요에 굴복하여 총회에서 신사참배가 가결되는 것을 목도하면서 신사참배 반대투쟁을 벌이기로 의지를 굳혀 갔다. 졸업 후 그는 전남 여수(麗水)의 나병환자 요양소인 애양원교회에서 목회 활동을 전개하는 한편 강연이나 회의 석상에서 신사참배의 부당성을 토로하고 일제가 패망할 것이라는 내용을 연설하는 등 민족의식을 고취하였다. 그러던 중 1940년 9월 25일 일경에 붙잡혀 1941년 11월 4일 광주지방법원에서 소위 치안유지법 위반으로 징역 1년 6월을 받아 옥고를 치렀다.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5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
순의팔사 창의비
순의팔사 창의비는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동면 사동리 239-1에 위치해 있으며, 팔의사는 삼진의거를 주도했던 8분의 애국지사를 말한다. 일본 제국주의 강제점령기 때 마산 삼진(진전, 진북, 진동면) 사람들이 합해 만세시위(삼진의거)를 벌였을 때 시위대의 맨 앞에 서서 시위대를 이끌던 인물들로 일본군의 총격으로 순절한 분들이다. 시위군중은 독립만세를 외치며 헌병주재소가 있는 진동면으로 시위행진을 시작하였다. 이때 별도로 독립선언서를 낭독하고 독립만세운동을 전개한 뒤, 진전면의 시위대열을 기다리던 진동면민들도 이에 가세하여 시위군중은 5천여명으로 늘어났다. 오후 2시, 시위대열이 진북면 사동리(社洞里) 다리앞에 이르렀을 때, 급보를 받고 출동한 일본 헌병과 보조원 8명 및 재향군인 30여명이 시위군중과 충돌하였다.다수의 부상자가 속출하고 있을 때, 마산(馬山)에서 응원 출동한 일본군 야포대대 군인이 현지의 일본 헌병, 보조원, 재향군인과 합세하여 무차별 사격을 가하였다. 이 야만적인 발포로 8명이 현장에서 순국하고 22명이 부상당하였는데, 이때 8의사는 흉탄에 맞아 순국하였다.
-
팔의사 창의탑
팔의사 창의탑은 경상남도 창원군 진동면, 진전면, 진북면 3개 면민들의 시위운동인 4.3삼진의거는 1919년 4월 3일 진동, 진전, 진북 3개면 약 5,000여 명(일부 사료 8000명)의 군중이 일본 헌병의 총칼에 맨주먹으로 맞서 벌인 크고 격렬한 만세운동으로 일제의 총격으로 8명이 숨지고 22명이 부상한 사건이 있었다. 1963년 10월 삼진면민들은 순국한 8의사의 넋을 기리기 위해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동면 사동리 237번지 고현 마을 입구에 8의사 창의탑을 세웠다. 변상태와 권영대, 권태용, 변상헌 등은 진전, 진북, 진동 3개 면의 합동의거를 4월 3일에 대대적으로 거사할 것을 결의했다. 이들은 4월 3일이 되자 진전면의 군중들을 이끌고 헌병주재소가 있는 진동으로 행진을 시작했다. 시위대가 진동 장터로 진입을 하고자 하였으나, 시위대의 규모에 놀란 일본 헌병들은 마산의 주둔부대에 긴급지원을 요청하고, 헌병보조원과 재향군인까지 동원하여 진동입구의 사동교에 진을 치고 시위대의 진입을 가로막았다. 이때 진전면의 시위대에 진북과 진동면의 군중들이 합류하여 시위군중이 7000여 명으로 불어나 사동교에서 대치하였다. 일본 헌병과 군인들이 시위군중을 향해 발포하여 당시 23세인 김수동과 변갑섭이 목숨을 잃었다. 오후 3시 마산의 중포병 대대 병력이 증파되어 사망자는 모두 8명에 22명 이상의 부상자를 냈다. 목숨을 잃은 8명은 김수동, 변갑섭, 변상복, 김영환, 고앙주, 이기봉, 김호현, 홍두익 등이었다. 있었다. 또한 변상섭, 변상술, 구수서, 변상헌, 김영종, 변우범 등은 징역형을 수형하였다. 삼진면민들은 부상자에 대한 일제의 치료를 거부하고 성금을 모아 민간병원에 치료를 의뢰하여 강렬한 민족의식을 다시 보여 주었다.
-
김상집, 전익진 장학추모비
김상집과 전익진은 1919년 3.1운동에 구국청년으로 항일운동에 참가하였으나 체포되어 옥고를 치른 후 향리로 돌아왔다. 그들은 전 재산을 육영 사업의 기금으로 하여 사립 창동학교(私立 昌東學校) 설립을 위시(爲始)하였고 여항공립보통학교(艅航公立普通學校)의 승격까지 지원하며 인재 양성에 뜻을 모았다. 이와 같은 두 인물의 공훈을 기념하고자 본 비가 건립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