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검색
TOTAL. 561건
-
곽태진 현창비(개진면 양전리)
곽태진(1917-2006)은 1917년 5월 18일 경상북도 고령군 우곡면 답곡리에서 아버지 곽종의와 어머니 경주 김씨 김금선 사이의 2남 4녀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1942년 3월 성일영·도종표(都鍾杓) 등 동지 100여 명을 규합하여 항일 비밀결사인 호의단(護義團)을 조직해 민족의식 고취를 위해 현풍신사(玄風神社)에 방화하는 등 항일투쟁을 전개하였으며, 고령군·청도군 등의 경찰서에서 무기를 탈취하여 무장 봉기를 계획하던 중, 1945년 5월 경상남도 창녕군 이방면 야산에서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대구지방법원 검사국에 송치되었고, 소위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로 사형선고를 받고 대구형무소에서 수감되었다. 그러다가 같은 해 옥중에서 8.15 광복을 맞았으며, 같은 날 대구지검에서 기소유예로 불기소처분을 받고 출옥할 수 있었다. 광복 이후 정계에 입문하였으며 1946년 한국민주당 경북도당 청년부장을 지내고, 1950년 제2대 민의원 선거에 고령군 지역 민주국민당 후보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51년 3월 29일 서민호(徐珉濠), 엄상섭(嚴詳燮), 고영완(高永完) 등 동료 국회의원들과 함께 국민방위군 사건의 진상을 폭로하였다. 1953년 민주당 발기인으로, 1960년 제5대 민의원 선거에 고령군 지역 민주당 후보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그러나 5·16 군사정변으로 국회가 해산되면서 민의원 직에서 물러났다. 이후 1981년∼1985년까지 민권당 부총재를 역임하였고,건국대학교 기성회 이사, 독립운동가연맹 이사 등을 역임했다. 1963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대통령표창이 수여되었고, 이어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이 수여되었다. 그의 유해는 2006년 4월 14일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3묘역에 안장되었다.
-
김상덕 사적비
김상덕(1892 - 1956)은 1919년 조선기독교청년회관에서 2.8 독립선언을 하고 독립선언서를 국내에 우송한 후 체포되어 옥고를 치렀다. 이후 국민대표회와 재만농민동맹, 대한청년동맹회, 조선독립운동자후원회에서 활동했다. 이밖에도 중앙집행위원과 선전부 책임위원으로 활동했고, 중국에 파견되어 대일한중연합전선의 결성에 힘썼으며, 한국독립당 중앙집행위원으로 선임되었다. 1942년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의원이 되었고 이듬해 대한민국임시정부 국무회의에 선전위원회 위원에 피선, 학무부 차장 및 민족혁명당 집행위원, 중앙위원 등으로 선출되어 활동하다가 광복을 맞이했다. 광복후 반민특위 위원장도 역임했다. 1990년 정부에서는 그의 공을 기려건국훈장 독립장을 수여했다.
-
김재열 현창비
김재열(1880 - 1967)은 조선국권회복단과 대한광복회 회원으로 활약했다. 경상도 지역 인사들이 조직한 독립단체였던 조선국권회복단의 계몽주의적 성향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풍기광복단과 통합하여 대한광복회를 결성했다. 김재열은 군자금을 수합하다가 일경에게 체포되어 6개월의 옥고를 치른 후 대한광복회가 추진한 친일파 처단 활동에 참가했다. 1990년 정부는 김재열의 공훈을 기려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했다.
-
최영돈 현창비
최영돈(1897 - 1985)은 1919년 김천군 개령면 동부동 일대의 독립만세운동을주동하고 대구만세사건에 대표로 참가하여 일제에 체포돼 태형 90대를 받았다. 1921년 상해 임시정부에서 활동하다가다시 체포되었으나 증거 불충분으로 풀려났으며, 이후에도 항일운동을 계속했다. 1990년 정부에서 선생의 공훈을 기려건국훈장 애족장을 수여했다.
-
남형우 순국기념비
남형우(1875 - 1943)는 비밀 독립운동 단체 대동청년단에서 활동했고 보성전문학교 법률학 교수로 재직했다. 1915년 대구에서 조선국권회복단 중앙총부라는 결사를 조직해 활동하다가 1919년 3.1독립운동이 일어나자 경남 창원 등지에서 시위를 적극 주도했다. 이후 대한국민의회의 산업총장에 선임되어 활동하고,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에 참여했으며, 법무차장에 임명되었다. 또한 임시의정원 의원에 선출되었고 법무총장, 교통총장, 국민대표회의의 주비위원장 등에 임명되어 활동했으며, ‘다물단’을 조직하여 독립운동 자금 모집, 시사책진회를조직하여 혼란에 빠진 임시정부 문제를 해결하려고 했다. 1930년에 일경에게 체포되었다가 발병으로 복귀했다. 1983년 정부에서는 선생의 공훈을 기려 건국포장을 추서했다.
-
신철휴 기념비
경상북도 고령군에 위치한 애국지사 해영 신철휴(1898 - 1980)선생 기념비이다. 1919년 만주에서 의열단 결성에 참가해 의열단 첫 사업인 밀양경찰서 폭파거사에 참여해 활동하던 중 체포되어 7년의 옥고를 치르고 출옥했다. 이후 ‘경북의열단사건’, ‘청주일심단사건’ 등에 연루되었으나 불기소 처분되었고 1928년 신간회 고령지부장으로 활약했다. 1990년 정부에서 선생의공훈을 기려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했다.
-
고령군 국채보상운동기념비
경상북도 고령군에 위치한 고령군 국채보상운동 기념비이다. 국채보상운동은 1907년 대구에서부터 전국적으로 확산된운동이다. 국채보상운동은 일제가 조선의 경제를 침탈할 목적으로 획책한 국채1300만원을 갚는다는 국권수호운동이다. 대구단연회에서는 고령향교에 공함을 보내 단체 결성을 요청했고, 홍와 이두훈 선생이 고령단연회 회장직을 임명받았다. 활발히 전개된 국채보상운동은 일제의 방해로 의연금 처리가 해결되지 못하자 고령향약회가 중심이 되어 본군의 의연금을 향중에서 관리하기로 결의했다.
-
이병회 추모비
이병회(1865 - 1927)의 ‘휘’는 ‘병회’이고, ‘자’는 ’음두‘이다. 3.1독립선언서의 민족대표에 유학자들이 불참하게 된 것에 통분한 유림계에서 작성한 파리장서에 이병회는 137명의 한국 유림 대표중 한 사람으로 서명했다. 파리장서는 파리에 한국대표로 파견되어 있던 김규식에게 송달되고, 국내외 각 향교에 우송되어 국제사회에 한국의 독립 의지를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2009년 정부는 선생의 공훈을 기려 건국포장을 추서했다.
-
곽걸 묘
곽걸(1868 - 1927)은 1919년 파리강화회의에 한국독립을 호소하기위해 유림대표가 작성한 독립청원서 파리장서에 유림의 한 사람으로 서명했다. 파리장서는 파리에 한국대표로 파견되어있던 김규식에게 송달되고, 국내외 각 향교에 우송되어 국제사회에 한국의 독립 의지를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곽걸은 동년에 다른 서명자인 송회근과 함께 체포되어 고초를 겪었으나 일제는 이들이 한국인의 존경을 받는 유림들이었으므로 민족적 감정이 번질 것을 우려해 부각시키지 않았다. 1998년 정부에서는 그의 공훈을 기려 건국포장을 추서했다.
-
곽수빈 추모비
곽수빈(1882 - 1951)은 1919년 파리강화회의에 한국독립을 호소하기 위해 유림대표가 작성한 독립청원서 파리장서에 유림의 한 사람으로 서명했다. 파리장서는 파리에 한국대표로 파견되어 있던 김규식에게 송달되고, 국내외 각 향교에 우송되어 국제사회에 한국의 독립 의지를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곽수빈은 동년에다른 서명자와 함께 체포되어 고초를 겪었으나 일제는 이들이 한국인의 존경을 받는 유림들이었으므로 민족적 감정이 번질 것을 우려해 부각시키지 않았다. 1995년 정부에서는 그의 공훈을 기려 건국포장을 추서했다.
-
곽태진 현창비(우곡면 답곡리)
곽태진(1917-2006)은 1917년 5월 18일 경상북도 고령군 우곡면 답곡리에서 아버지 곽종의와 어머니 경주 김씨 김금선 사이의 2남 4녀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1942년 3월 성일영·도종표(都鍾杓) 등 동지 100여 명을 규합하여 항일 비밀결사인 호의단(護義團)을 조직해 민족의식 고취를 위해 현풍신사(玄風神社)에 방화하는 등 항일투쟁을 전개하였으며, 고령군·청도군 등의 경찰서에서 무기를 탈취하여 무장 봉기를 계획하던 중, 1945년 5월 경상남도 창녕군 이방면 야산에서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대구지방법원 검사국에 송치되었고, 소위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로 사형선고를 받고 대구형무소에서 수감되었다. 그러다가 같은 해 옥중에서 8.15 광복을 맞았으며, 같은 날 대구지검에서 기소유예로 불기소처분을 받고 출옥할 수 있었다. 광복 이후 정계에 입문하였으며 1946년 한국민주당 경북도당 청년부장을 지내고, 1950년 제2대 민의원 선거에 고령군 지역 민주국민당 후보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51년 3월 29일 서민호(徐珉濠), 엄상섭(嚴詳燮), 고영완(高永完) 등 동료 국회의원들과 함께 국민방위군 사건의 진상을 폭로하였다. 1953년 민주당 발기인으로, 1960년 제5대 민의원 선거에 고령군 지역 민주당 후보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그러나 5·16 군사정변으로 국회가 해산되면서 민의원 직에서 물러났다. 이후 1981년∼1985년까지 민권당 부총재를 역임하였고,건국대학교 기성회 이사, 독립운동가연맹 이사 등을 역임했다. 1963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대통령표창이 수여되었고, 이어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이 수여되었다. 그의 유해는 2006년 4월 14일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3묘역에 안장되었다.
-
신철휴 흉상
경상북도 고령군에 위치한 애국지사 해영 신철휴(1898 - 1980)선생 흉상이다. 1919년 만주에서 의열단 결성에 참가해 의열단 첫 사업인 밀양경찰서 폭파거사에 참여해 활동하던 중 체포되어 7년의 옥고를 치르고 출옥했다. 이후 ‘경북의열단사건’, ‘청주일심단사건’ 등에 연루되었으나 불기소 처분되었고 1928년 신간회 고령지부장으로 활약했다. 1990년 정부에서 선생의공훈을 기려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