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재학 기념비

4

주소
경상남도 의령군 화정면 상정리 819-1

사적지 사진 상세설명

迂堂 曺在學 先生 紀念碑(오당 조재학 선생 기념비)
한말의 정국이 안으로는 세도정치와 민란으로 혼미에 빠져가고 밖으로는 열강의 극동진출로 국민은 바야흐로 불안에 휩싸일 무렵 선생은 서기 1861년 9월 4일 경남 의령군 화정면 상정리 춘호 조익환 공의 3남으로 탄생하셨는데 자는 공습 호는 오당 일직부터 수학에 전념하였으나 일본이 점차 한국침략을 흉모를 들어내자 우국의 충정에서 약관의 몸으로 감연 책을 덮고 일어서 천하를 누비며 명사들을 찾아 동지를 맺고 1882년에 면암 최익현 공을 1888년에는 연재 송병선 공을 스승으로 받들고 기울어가는 국운을 만회하려 했다. 때마침 일본은 로일전쟁에서 승전하자 1904년 총검하에 한일조약을 1905년 다시 을사보호조약을 강요하니 정부는 이에 굴하고 말았다. 전국민은 분격하여 정부각료와 일본에 항거했고, 선생도 면암을 따라 항의에 나섰지만 정세는 너무도 급박하여 오직 의병의 항쟁만이 최후의 수단이라고 믿고 1906년 4월 인근 각지를 돌면서 모병에 나섰다. 면암의 의병이 순창에서 패하여 면암은 일본 대마도로 호송되자 선생은 대마도 엄원에 상륙하여 스승을 위문하고 순의의 부음이 전해지자 선생은 운구와 장례에 자제의 의를 다했다. 1910년 망국의 슬픔을 달랠 길 없었지만 조국광복의 염원은 더욱 굳어졌다. 그러나 일경의 감시와 구금으로 옥고만 거듭할 뿐이어서 1914년 4월 고종황제의 밀조를 받자온 사건으로 8월 2일 울릉도로 만 1년 유형되고 1919년 2월 고종이 승하하자 상경하여 동지와 독립선언문의 발표를 꾀하다가 탄로되어 일시 잠적, 7월 파리장서를 선생과 면우 곽종석 회당 장석영 등과 상의 작성한 사실이 발각 성주경찰이 선생가를 내습하였으나 그때도 일시 잠적했고, 그해에 고사연구회를 꾸렸고 1921년 2월 서울 팔판동에서 구속되었다가 출옥, 다시 고사연구회를 입도공의소로 개칭하여 동지 규합에 나섰으나 뜻과 같지 않아서 선생은 실의와 고민에 잠긴다. 1927년 진주와 의령의 접경의 그윽한 곳을 복하여 두어간 초옥을 짓고 봉소암이라고 이름하고서 은둔사색의 15년인 1943년 5월 14일 우국지사로 파란많던 생애를 마치니 향년이 83이시다. 슬프다 선생의 염원이던 조 국광복을 2년 앞둔 채 서거하시다니 하늘이 어찌도 이같이 무심한지고 여기 후배들이 모여 선생의 유덕과 공훈을 돌에 새겨 깊이 전하고자 하오니 선생이시여! 고이 잠드오시라.
서기 1976년 6월 전 서울대학교 대학원장 문학박사 이숭녕 찬 전면 대자 청남 오제봉 서

서기 1980년 5월 5일 우당 조재학 선생 기념비 건립위원회 초립
서기 2011년 11월 17일 국가보훈처 지원 후손 중수 재립
경남 의령군 화정면 상정리 819-1 오당 조재학 선생 기념비를 찾아왔다.
오당 조재학 선생 기념비 - 국가보훈처 지정 현충시설
관리번호: 42-1-23 / 관리자: 의령군
구한말인 1861. 9. 4. 태어나 기울어 가는 국운을 만회하려고 면암 최익현, 송병준 공을 스승으로 삼아 독립운동을 했고 1919년 회당 장석영 선생 등과 파리장서사건을 주도하고 1921년 고사 연구회를 꾸며 민족의 독립을 염원했던 오당 조재학 선생의 공적을 기리기 위해 1977. 4. 9. 건립하였다.
迂堂(오당) 조재학 선생의 경력·유사 약기
1861.9.4. 경남 의령군 상정면 하촌리 조익환공 3남으로 출생
1870. 부계 전병순 문하에서 수학
1882. 면악 최익현 문인
1888. 연재 송병선 문인
1906. 면암 창의 시 소모오위장
1906.9. 대마도에 구인된 면암 선생 위문
1908. 상정면 훈장
1910.8. 일본군 사령관에게 한일합방 항의 서한 발송
1914.4. 고종황제 밀서 받음 독립의군부 총대표
1914.7. 우사건으로 울릉도 감금 2년 유배
1919.3. 류준근 등과 만세운동 참가
1919.3. 13도대표 독립청원서 사건 참여
1919.3. 한국유림 파리장서 독립운동 참여
1920.1. 조선고사연구회.인도공의소 설립
1921.2. 조선고사연구회사건 감옥 구금
1927. . 봉소암 은거
1943.5.14. 서거
1980. 건국포장 추서
1990. 건국훈장 애국장 추서
有隣契 設(유린계 설)
유린계원 숭모비
유린계는 오당 처사 조공을 위한 계로 공자의 德不孤必有隣(덕불고필유린)에서 연유하는 것으로 덕이 있는 사람은 마음을 같이 하는 이웃이 있어 외롭지 않으니 이것이 바로 덕이다. 세상을 같은 마음으로 어울리고 서로 따르며 함께 사는 것이 '유린'이다. 공은 최면암 송연재 두 선생의 고족제자로 뜻이 크고 기개가 있으며 의지가 굳고 높다. 연재 선생 순절시에서 복수를 하지 않으면 서책을 묻어야 한다고 말하였고, 면암 선생이 의병을 일으켜 대마도에 갇혀 있을때 갇힌 분들의 지조와 절개를 되찾고자 대마도로 선생을 찾아뵙고 왔다. 울릉도에 구금되었어도 이 뜻은 바꿀 수 없는 의지라 의연히 지켰다. 고종황제 인산 시 상소하고, 파리장서에 서명하였다. 우리나라의 광복을 위한 지조와 의사가 없지 아니하였지만 공은 드러내지 않았다. 장차 천지와 더불어 세상을 다스리는 도리와 법도가 바로 서게 되면 능히 이웃을 알게 하기 위하여 뜻을 함께하는 사문후학 문도들이 이 계를 세우고자 성안에 동참하여 유린계가 세워졌다고 병자년 춘 정월 팔일 동계생 정재 남정호 선생이 유린계 설을 남겼다. 1970년 유린계의 옛 계원들과 그 후손 및 문도 등이 뜻을 모아 재건이 존의되어 화산 권용현 선생은 공의 덕성과 신의를 흠모하는 이가 많으니 이 계는 更長(갱장)하여야 하고 유린자는 외롭지 않다면서 유린계 서문을 계축년 계동에 천하여 공을 사모하는 많은 사람이 동참하여 다시 계를 세웠고 1974년 공의 업적을 기릴 기념사업회를 발족하여 기념비건립을 최우선사업으로 추진하여 춘추대의와 존양으로 대변되는 공의 학문과 사상을 현창하고 충의의 표상인 공의 정신을 오늘에 구현하고자 앞장섰던 유린계원의 숭고한 정신을 흠모하여 그 정성을 비에 새겨 후세에 그 본을 전하고자 한다.
有隣契 序(유린계 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