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애국단 결성지(도피안사)

4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동송읍 관우리 450
탐방로그
철원군 동송읍 관우리 450 철원애국단 결성지 도피안사를 찾았다. 철원애국단 결성지 안내판은 일주문 바로 옆에 있었다.

사적지 사진 상세설명

철원애국단 결성지 안내판은 일주문 바로 옆에 있었다.
강원애국단(철원애국단) 결성지
강원애국단(철원애국단) 결성지
● 정의: 1919년 9월 철원의 애국지사들이 상해임시정부의 활동을 지원한 단체인 대한독립애국단의 철원지부를 결성한 곳
● 현재주소: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관우리 450 도피안사
● 당시주소: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도피리 도피안사
● 현재상태: 도피안사는 6.25 전쟁 시기에 화재로 소실되었다가 해방 후 주둔군에 의해 재건되었다. 철원의 중요한 항일운동이면서 초기 임정의 국내활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철원애국단의 회의장소이기에 역사적 가치가 높다.
강원도 내에서 가장 먼저 시작된 철원의 만세시위는 시위자가 진압된 후에도 지역사회의 본격적인 독립투쟁 활동으로 이어졌다. 민족교육의 산실인 봉명학교(鳳鳴學校) 학교 설립자 이봉하 선생은 곧이어 비밀 독립투쟁단체인 철원애국단(鐵原愛國團)을 결성하여 철원군단장(鐵原郡團長)과 강원도단장을 맡아 활동하였다. 애국단의 활동내용은 상해임시정부지원 및 임시정부의 각종문서 반포, 독립운동의 선전, 일본 관직에 있는 한국인에 대한 퇴직 설득, 임시정부 독립자금 모집 및 전당 등이었다. 철원애국단과 강원애국단은 신현구(申鉉九, 1882~1930) 선생에 의해 설립된 대한독립애국단의 강원도 조직이다. 3.1운동 이후 국내에는 많은 비밀 무장투쟁 조직이 생겼는데 대한독립애국단은 그 규모로 보나 활동면에서 월등한 입지를 차지한다. 애국단은 서울에 본부를 두었고 점차 전라도, 충청도, 강원도 등지로 조직의 규모를 확대해 나갔다. 철원군단은 김상덕(金相德)의 소개로 대한독립애국단의 존재를 알게 된 이봉하, 박연서(朴淵瑞), 강대려, 김완호(金完鎬), 이용우(李用雨), 박건병(朴健秉), 오세덕(吳世德) 등이 참여하여 1919년 8월 11일 철원의 도피안사에서 결성되었다. 이 자리에서 이봉하 선생을 철원군단장으로 하고 서무과장에 강대려, 재무과장에 김완호, 통신과장에 박연서, 학무과장에 박건병, 외교부원으로 이용우, 김철회 오세덕을 각각 선출했다. 그 후 서울의 대한독립애국단 본부는 철원군단을 강원도단으로 승격시켰다. 이에 따라 철원애국단은 강원도 전역으로 급속히 퍼져나가 기독교 목사, 승려, 유학자 등 각층에서 가담하였다. 전국에 뿌리내린 대한독립애국단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연통제 역할을 수행하였다. 연통제란 상해 임시정부의 국내 지방행정조직으로 애국단 강원도단은 임시정부 강원도청인 셈이다. 강원도단에는 철원군단을 비롯, 강릉군단, 평창군단, 단양군단을 예하로 거느리고 있었다. 독립운동의 열기가 점차 국내에서 국외로까지 확산되며 상해 임시정부가 독립운동의 구심체로 부상하였고 그에 따른 지원활동을 행동지침으로 삼아 연통제 역할을 수행한 것이다. 강원애국단은 1919년 10월 10일 철원에서 강원도단 전원이 참여하여 2차 만세운동을 거행하기도 하였다. 강원애국단은 1920년 초 철원읍 월하리 거주 재력가들을 대상으로 독립운동 참여와 독립자금 모금 동참을 요구하다가 이들의 밀고로 그 전모가 들어나 35명의 조직 임원이 체포되었다. 이봉하 선생은 이 사건으로 징역 1년을 선고받고 옥고를 치렀다. 김상덕을 비롯한 다른 임원들도 정치범죄 처벌령 위반, 출판법 위반, 보안법 위반 등의 죄명으로 판결을 받았다.
철원군 동송읍 관우리 450 철원애국단 결성지 도피안사를 찾아가고 있다.
花開山 到彼岸寺(화개산 도피안사)
도피안사(到彼岸寺)
도피안사는 '깨달음의 언덕으로 건너간다.'라는 뜻을 가진 사찰이며 대한불교조계종 제3교구 본사인 신흥사의 말사(末寺)다. 국보 제63호 철조비로자나불좌상(鐵造毗盧遮那佛坐像)이 모셔져 있고 보물 제223호 삼층석탑(三層石塔)이 있다.
통일신라 제48대 왕인 경문왕 5년(865년)에 도선국사(道詵國師)가 철원 지방의 향도 천여 명을 거느리고 산수가 좋은 곳을 찾던 중 화개산 현 위치에 터를 잡고 도피안사를 처음 세웠다.
대한제국 광무 2년*(1898년)에 화재가 발생하여 소실된 것을 당시 주지 스님이었던 법운 스님이 다시 세웠다. 그 후 1941년 1월 당시 주지 스님이었던 김의권 스님이 사찰을 고치고 정비하여 전통사찰로 이어져 오게 되었다.
광복 후에는 철원 지역이 공산 치하에 있었던 시기에 사찰도 공산 치하에 있었다. 1950년 6.25전쟁으로 인해 완전 소실된 것을 1957년 11월 육군 제15사단이 복원하여 군(軍)에서 관리하게 되었다. 1986년에 사찰 관리권이 민간으로 이관되면서 1988년부터 정부의 지원으로 대적광전(大寂光殿)과 삼성각(三聖閣)을 개축하고 범종각(梵), 사천왕문(四天王門), 일주문(一柱門)을 중건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 광무(光武): 1897년(고종 34년)에 제정된 대한제국의 연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