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구 묘

4

주소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미원면 용곡리 산47-1

사적지 사진 상세설명

키 위하여 미원엔 각 지구책을 두고 낭성엔 신학구 신성휴를 면책으로 정했다. 약정한 그 날 모인 인원은 2,000여에 달했다. 이에 앞장을 선 지사는 네거리에서 미리 준비한 태극기를 높이 흔들면서 목이 터지도록 조선독립만세를 외첬다. 이에 격동된 군중 또한 열과억으로 호응하니 그 기세는 중천하고 그 함성은 천지를 뒤흔드는 듯했다. 이에 당황한 왜헌병들은 지사를 주동인물로 지목 집중적으로 공격해옴으로써 ○부득기 구인 유치되였다. 지휘자를 잃은 군줃릉은 그의 석방을 요구키위해 해병주재소 구내로 노도와 같이 밀려갔다. 그러나 석방의 기미가 보이지 않차 더욱 격분한 군중들은 돌과 몽둥이로 유리창과 벽과 담장을 닥치는 대로 마구 부수니 이에 겁을 먹은 왜병들은 그들의 청주수비대에 원병을 긴급요청했다. 그 원병의 발포로 일단 해산은 하였으나 산발적인 항쟁은 끊이지 않았다. 이로 인해 장일환 이병선이 발표로 순사하였으며 피구속자는 지사외 13인이다. 그해 5월 5일 그들의 소위 보안법위반및 소요죄로 적용 징역 1년형을 언도받고 복역 1년만기로 출소했다. 그러나 왜경의 끈질긴 감시와 압박에 못견뎌 1921년 4남3녀와 부인 일가족이 남부여대로 중국으로 망명하여 이역에서 온갖 고생을 겪으면서도 조국광복을 하루도 잊지않았다. 1944년 차남 병유를 그 선대봉사를 위해 고국으로 돌려보내고 계속 체류중 8.15광복을 맞이했다. 귀국을 준비하던중 공산혁명으로 인해 통로가 막혀 환국치 못하고 1948년 6월 2일 흑룡강성 오상현 제7지구 평방촌에서 공복된 조국땅을 밟아보지 못한채 망향의 한을 품고 일생을 걷우었다. 80년 KBS사회교육방송을 통해 본국의 병휴와 중공에 있는 딸 창휴와 생사확인에 이어 서신연락과 대한적십자사의 주선으로 그 유해가 86년 12월 17일 딸에 안겨 혼국 곧 광복회 충북지회장으로 이곳에 모시다. 유족으론 부인 보성오씨
니 70년 5월 21일 중국에서 하세하였다. 그 유해는 반장치 못해 지석으로 체백을 대하여 합폅했다. 장남은 갑휴니 또한 중국에서 65년 별세했다. 병휴는 3남3녀두니 승우 환우 찬우는 남이다.83년 8월 15일 대한민국정부로부터 건국공로대통령표창을 추서받았고 국가보훈처의 보조로 이 비를 세운다.
청주시 상당구 미원면 용곡리 산 47-1 애국지사 신경구 선생 묘를 찾았다.
애국지사 신공경구지묘
빼앗긴 국권을 되찾기위하여 온겨레가 총궐기하여 독립만세를 외쳤으니 곧 3.1운동이다. 이 고장에서도 이에 호응 총궐기하였으니 이를 주도하고 앞장섯던 분은 당시 29세의 청년 신경구지사다. 지사는 이 고장 용곡 고령신씨가문에서 부 혜모공과 모 경주김씨 사이에서 고종 신묘 음 9월4일 출생하니 곧 문충공 보한재선생의 14대손이며 증 이조참판 동석재공의 11대선이다. 자라면서 기개가 크고 유달리 애국심이 강한 지사는 약관때인 경술국치시에 일제에 항쟁키 위해 의병에 가담 활약한바있고 이어 1919년 3.1운동이 일어나자 지사는 분연히 박차고 일어나 동지인 이용실 이수란과 함의하여 주민들에게 애국심 고취와 3월 30일을 기해 미원장터로 집합 일제히 거사키로 정하고 이를 비밀리 연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