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인3.1운동기념탑

4

주소
전라북도 정읍시 태인면 태성리 산33-6
탐방로그
매년 3.1절 기념행사 및 참배의식을 거행하고 있다.

사적지 사진 상세설명

송수연, 김현곤, 송문상, 김달곤, 송한용, 신영식, 송진상, 송덕봉, 백낙두, 박지선, 오석홍, 송영근, 백복산
여기는 정읍인의 애국충정의 얼이 서린 곳
구국 일념으로 항일투쟁에 몸 바치신 임들의 높은 충혼의 뜻을 기리고자 성황산 기슭 양지바른 이곳에
시민의 이름으로 위패를 봉안하니 해와 달이 이 언덕을 영원히 밝혀 주리라
유치도, 송근상, 김부곤, 오철수, 김진근, 김용안, 최민식, 김진호, 김승권, 송순용, 윤상홍, 권사옥
태인3.1운동기념탑을 찾아보자.
이곳에서 직진을 하면 3.1운동기념탑으로 올라가는 길이고, 우측은 태인전적지로 올라가는 길이다.
먼저 3.1운동기념탑을 탐방하고자 한다.
태인3.1운동기념탑. 1910년 일본에 나라를 빼앗긴지 9년이 지난 1919년 3월 1일 서울 파고다 공원에 모인 33인의 독립선언을 계기로 일본에 항쟁하는 민족 운동은 요원의 불길처럼 지방으로 파급되어 전국 방방곡곡에 퍼져나갔다.
1919년 3월 5일 10시경 송수연, 김현곤,송한용 세 사람이 태흥이 오리부락 고목 아래서 밀회하여 거사 방법을 토의하였으며 7월부터 읍원정에 근거를 두고 거사준비를 모의하였는데 이때부터 송문상, 김달곤이 함께 참가하였다. 두 사람은 당시 서울 오성학교에 재학중인 학생신분이요 부유한 가정출신이었다. 거사게획은 3월 16일 태인 장날 헌병 분견소의 정오 타종을 신호로 궐기할것, 김현곤은 독립선언서 인쇄와 태인보통학교의 교원과 학생을 동원할것, 송수연은 행사진행을 지휘할것, 송한용은 태극기를 만들 것으로 모둔 준비가 추진되어 3월 16일 정오에 종소리가 울리자 시장에서 '대한독립만세'의 함성이 천지를 진동하였고 송수연의 선봉으로 의혈 청년들이 조국광복을 부르짖는 가두연설을 하고 한편에서는 대오를 지이 시위행진을 하였다. 이에 당황한 일본헌병들은 총침으로 이를 탄압하니 박지선이 타박상을 입었다. 그 밖에 많은 사람들이 부상을 입었으나 이에 굴하지 않고 계속 되었으며 성황산과 항가산에 모여서 시위를 벌이며 독립만세를 외쳤다. 일본헌병이 추격하여 오면 항가산에서 성황산으로 또는 성황산에서 항가산으로 옮겨가며 밤이 깊도록 독립만세의 함성이 끊이지 않았다. 이때 권사옥은 김승권으로 부터 공급받은 태극기로 3월 16일 출생지인 옹동면 신성리(속칭 베르매) 뒷산에서 마을 사람들과 독립만세를 외쳤다. 이날의 주모자로 100여명이 헌병에 붙잡혀 갔으나 좌절하지 않고 며칠동산 이웃마을에서 계속 되었다. 정읍 검사국으로 송치된 주모자는 송수연, 김현곤,김달곤,송문상등 25명으로 5월 15일 정읍재판소 1심에서 태형 구류 등의 형을 받고 옥고를 치루었다. 이 탑은 태인 성황산 남쪽 고지에 1919년 3.1운동때 태인지방의 봉기를 기념하기 위하여 주민들의 출연과 군비보조로 1984년 3월 1일 현위치에 건립하였으며 2003년 12월 10일 노후된 탑 복원과 함께 25위에 대한 위패 봉안소를 건립하여 매년 3.1절 기념행사및 참배의식을 거행하고 있다.
3.1운동기념탑
누리의 모든 빛살들 모여 이 태인벌을 비추나니 환히도 타오르거니
짓밟힌 아픔 빼앗긴 설움의 불씨가 항쟁의 횃불로 타 올라 일제히 일어섰던 핏빛 겨레의 함성이여 그 뜨거운 분노여
성황산 계곡을 매이리치던 만세소리 삼천리 강토를 적셨고 뜨거운 염원으로 타오르던 항가산 봉화불
핍박과 어둠에 묻힌 조국산하를 환히도 밝혔거니 누가 막으리오
오늘도 청솔 바람따라 그날의 함성이 들려오거니 우리 겨레의 가슴속에 맥으로 흐르나니
그날의 핏빛 염원의 노래가 무늬지는 빛살로 천년을 흐르리라 파랗게 퍼져 가리라
기미년 3월 16일(음 2월 15일) 태인장날을 기하여 송수연외 24인이 주동이 되여 항일의 횃불을 높이 들고 피어린 투쟁을 전개하였으니 참으로 이는 우리 민족얼의 발로요 근대민족사에 커다란 섬광이라 아니할수 없다
잔악한 일제의 총검하에도 굴함이 없이 열을 지어 독립만세로 대항하니 때마침 수천의 장꾼들이 이에 호응하여 성환산 항가산에서 봉화와 함성으로 밤이 깊고 날이 새도록 천지를 흔들어 겨레의 긍지와 자주정신을 유감없이 발휘하였으니 그 아니장하리요!
당시 항일투사
송수연, 김현곤, 송문상, 김달곤, 송한용, 신영식(신기선), 송진상, 송덕봉, 백낙두, 박지선, 오석흥, 송영근, 백복산, 유치도, 송근상, 김부곤, 오철수, 김진근, 김용안, 최민식, 김진호, 김승권, 송순용, 윤상홍, 권사옥
서기 1984년 3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