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소
- 전라북도 정읍시 산외면 평사리 430-2
- 탐방로그
- 정읍시 산외면 평사리 430-2 애국지사 자암 박준승 기념관을 찾았다. 노은마을 충의정의 바로 앞에 위치하고 있었다.
사적지 사진 상세설명
애국지사 박준승 기념관
애국지사 박준승 기념관
애국지사 박준승 기념관 종합 안내도
독립운동가 박준승. 민족대표 33인중의 한 사람으로 전라북도 임실출신이며, 천도교인다. 1891(고종 29)에 천도교에 입교하여 1987년(광무 1)에 접주가 되고, 1908년(융희 2)에 수접수, 1912년에 전남 장성군 천도교 대교구장 겸 전라도 순유위원장을 역임하였다. 1919년 2월경에 손병희로부터 독립만세 시위에 참여하라는 권유를 받고, 수교도 유태흥, 박영창, 김의규에게 독립선언서 5천 매를 배부받아 장성.임실등지에서 궐기하였다. 그는 2월 25일부터 27일경까지 천도교 기도회 종료 보고와 국장참배를 위해 상경했다가 손병희. 권동진, 오세창과 만나 3.1독립운동에 관한 설명을 듣고 이에 찬동하여 민족대표로서 서명할 것을 승낙하였다. 2월 27일 최친, 오세창, 임예환, 권병덕, 나인협, 홍기조, 김완규, 나용화, 홍병기, 양한묵등의 동지들과 함께 김상규의 집에 모여서 독립선언서와 기타 문서의 초안을 검토하였으며, 이들과 함께 민족대표로서 성명하였다. 28일에는 재동 손병희의 집에서 다른 민족대표들과 만나 이틀날 거행될 독립선언에 따른 최종 검토를 하였다. 그는 3월 1일 오후 2시경 민족대표에 손병희등과 함께 인사동의 태화관에 모여 독립선언서를 회람하고 만세삼창을 외친 뒤, 일본경찰에 의하여 체포되어 1920년 경성복심법원에서 소위 보안법과 출판법 위반 혐의로 징역 2년을 선고받고 서대문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렀다. 1927년 산외면 정량리 인계마을에서 별세하여 처도교회당에서 교회장으로 거행하였고, 북면 마정리 칠보산에 안장되었다가 1963년 현 위치인 정읍시 수성동 충무공원으로 이장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기 위하여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추서하였다.
애국지사 박준승 상
3.1운동 민족대표 33인 중 한 분으로 박준승 선생의 자주독립 의지를 계승하고자 이곳에 기념관을 설립하고 선생의 조형물을 세워 그 뜻을 기리고자 합니다.
2019년 11월 12일
- 좌대에 새긴 독립선언서에 서명한 33인 중 일제강점기에 변절자를 포함하고 있다.
3.1운동 민족대표 33인 중 한 분으로 박준승 선생의 자주독립 의지를 계승하고자 이곳에 기념관을 설립하고 선생의 조형물을 세워 그 뜻을 기리고자 합니다.
2019년 11월 12일
- 좌대에 새긴 독립선언서에 서명한 33인 중 일제강점기에 변절자를 포함하고 있다.
3.1운동 민족대표 33인 중 한 분으로 박준승 선생의 자주독립 의지를 계승하고자 이곳에 기념관을 설립하고 선생의 조형물을 세워 그 뜻을 기리고자 합니다.
2019년 11월 12일
- 좌대에 새긴 독립선언서에 서명한 33인 중 일제강점기에 변절자를 포함하고 있다.
2019년 11월 12일
- 좌대에 새긴 독립선언서에 서명한 33인 중 일제강점기에 변절자를 포함하고 있다.
독도까지 그려진 한반도 지도 위에 정읍, 임실, 순창, 남원이 표시되어 있다.
박준승선생께서 독립선언서를 배포하신 지역이라고 알려주셨다.
또 임실은 박준승 지사가 탄생하신 곳이,고 이곳 정읍은 말년을 보내시고 묘소가 있는 곳이다.
박준승선생께서 독립선언서를 배포하신 지역이라고 알려주셨다.
또 임실은 박준승 지사가 탄생하신 곳이,고 이곳 정읍은 말년을 보내시고 묘소가 있는 곳이다.
애국지사 박준승 기념관
순창과 관련이 되시는 애국지사들이시다.
피고는 조선독립을 될 줄 믿고 있는가? 피고는 금후도 독립운동을 할 것인가?
그렇게 생각하고 있다. 기회만 있으면 반드시 하겠다.
자암 박준승
그렇게 생각하고 있다. 기회만 있으면 반드시 하겠다.
자암 박준승
기념관 맞은편에는 무궁화 동산이라는 이름으로 애국지사 여러분의 사진들이 붙어 있었다.
김구(1876~1919)
황해도 해주 독립운동가(의열투쟁)
안중근(1879~1819)
황해도 신천 독립운동가(의열투쟁)
이승만(1875~1965)
황해도 평산 독립운동가(임시정부)
황해도 해주 독립운동가(의열투쟁)
안중근(1879~1819)
황해도 신천 독립운동가(의열투쟁)
이승만(1875~1965)
황해도 평산 독립운동가(임시정부)
유인석(1842~1915)
강원도 독립운동가(의병)
박용만(1881~1928)
강원도 철월 독립운동가(미주방면)
민긍호(1865~1908)
강원도 독립운동가(의병)
강원도 독립운동가(의병)
박용만(1881~1928)
강원도 철월 독립운동가(미주방면)
민긍호(1865~1908)
강원도 독립운동가(의병)
강우규(1855~1820)
평안남도 덕천 독립운동가(의열투쟁)
안창호(1878~1938)
평안남도 강서 독립운동가(임시정부)
조만식(1883~1950)
평안남도 평양 독립운동가(문화운동)
평안남도 덕천 독립운동가(의열투쟁)
안창호(1878~1938)
평안남도 강서 독립운동가(임시정부)
조만식(1883~1950)
평안남도 평양 독립운동가(문화운동)
이준(1859~1907)
함경남도 북청
독립운동가(계몽운동)
함경남도 북청
독립운동가(계몽운동)
이승혼(1864~1930)
평안북도 정주 독립운동가(3.1운동)
오동진(1889~1944)
평안북도 의주 독립운동가(만주방면)
평안북도 정주 독립운동가(3.1운동)
오동진(1889~1944)
평안북도 의주 독립운동가(만주방면)
신익희(1894~1956)
경기도 광주 독립운동가(임시정부)
조병세(1827~1905)
경기도 가평 독립운동가(계몽운동)
조소앙(1887~1958)
경기도 양주 독립운동가(임시정부)
경기도 광주 독립운동가(임시정부)
조병세(1827~1905)
경기도 가평 독립운동가(계몽운동)
조소앙(1887~1958)
경기도 양주 독립운동가(임시정부)
김규식(1881~1950)
서울 독립운동가(임시정부)
서울 독립운동가(임시정부)
이시영(1869~1953)
서울 독립운동가(임시정부)
민영환(1861~1905)
서울 독립운동가(계몽운동)
조소앙(1883~1907)
경기도 포천 독립운동가(의병)
서울 독립운동가(임시정부)
민영환(1861~1905)
서울 독립운동가(계몽운동)
조소앙(1883~1907)
경기도 포천 독립운동가(의병)
김좌진(1889~1930)
충청남도 홍성 독립운동가(만주방면)
한용운(1879~1944)
충청남도 독립운동가(3.1운동)
충청남도 홍성 독립운동가(만주방면)
한용운(1879~1944)
충청남도 독립운동가(3.1운동)
손병희(1861~1922)
충청북도 청주 독립운동가(3.1운동)
윤봉길(1908~1932)
충청남도 예산 독립운동가(의열투쟁)
충청북도 청주 독립운동가(3.1운동)
윤봉길(1908~1932)
충청남도 예산 독립운동가(의열투쟁)
김창숙(1879~1962)
경상북도 성주 독립운동가(임시정부)
이강년(1858~1908)
경상북도 문경 독립운동가(의병)
허위(1854~1908)
경상북도 선산 독립운동가(의병)
경상북도 성주 독립운동가(임시정부)
이강년(1858~1908)
경상북도 문경 독립운동가(의병)
허위(1854~1908)
경상북도 선산 독립운동가(의병)
박준승(1866~1927)
전라북도 임실 독립운동가(3.1운동)
서재필(1864~1951)
전라남도 보성 독립운동가(계몽운동)
전라북도 임실 독립운동가(3.1운동)
서재필(1864~1951)
전라남도 보성 독립운동가(계몽운동)
정읍시 산외면 평사리 430-2 애국지사 자암 박준승 기념관을 찾았다.
노은마을 충의정의 바로 앞에 위치하고 있었다.
노은마을 충의정의 바로 앞에 위치하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