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소
- 전라북도 정읍시 덕천면 하학리 산3-5
- 탐방로그
- 정읍시 덕천면 하학리 산3-5 동학농민혁명기념공원 황토현적적지 동학농민군 행렬 동상 '불멸, 바람길'를 찾았다. 동학농민혁명에 참여했던 인물들의 행렬을 입체적으로 표현한 조형물이다. 조형물 뒷면의 설명에 의하면 좌측은 1차봉기 행군상이고, 우측은 2차봉기 행군상이다.
사적지 사진 상세설명
1895년
3. 23(양 4.17) 청일전쟁 강화조약(시모노세키 조약) 체결
3. 29(양 4.23) 법무아문 궐석재판소에서 전봉준 등 사형 선고
4. 30(양 4.24) 새벽 2시 전봉준, 손화중, 김덕명, 최경선 성두한 교수형
7월까지 각지에서 동학농민군 산발적 항쟁
3. 23(양 4.17) 청일전쟁 강화조약(시모노세키 조약) 체결
3. 29(양 4.23) 법무아문 궐석재판소에서 전봉준 등 사형 선고
4. 30(양 4.24) 새벽 2시 전봉준, 손화중, 김덕명, 최경선 성두한 교수형
7월까지 각지에서 동학농민군 산발적 항쟁
정읍시 덕천면 하학리 산3-5 동학농민혁명기념공원 황토현적적지 동학농민군 행렬 동상 '불멸, 바람길'를 찾았다.
전국 지역별로 동학혁명 관련 전투역사등 정보를 알려주는 울림기둥.
울림의 기둥
1894년 동학농민군이 봉기한 서울, 경기도, 강원도,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황해도의 전국 90개 지역을 상징하는 조형물이다. 흰색의 기둥은 무명옷을 입은 농민군과 혁명의 순수성을 상징한다.
동학농민혁명기념공원
1894년 동학농민군이 봉기한 서울, 경기도, 강원도,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황해도의 전국 90개 지역을 상징하는 조형물이다. 흰색의 기둥은 무명옷을 입은 농민군과 혁명의 순수성을 상징한다.
동학농민혁명기념공원
정읍 황토현 전적
황토현 전적은 동학농민군이 관군에게 큰 승리를 거둔 곳이다. 고부 군수 조병갑의 수탈에 맞서 봉기한 농민군은 1894년(고종 31) 1월에 고부 관아를 습격하여 조병갑을 응징했다. 그러나 사태를 진정시키러 온 정부 관리는 모든 잘못을 농민군에게 돌리며 그들을 탄압했다. 이에 수만 명의 농민군은 고부 북쪽의 백산에 집결하여 나라를 바로잡고 백성을 구한다는 기치아래 전봉준을 대장으로 추대했다. 농민군은 1894년 5월 11일 새벽, 이 곳에 진을 치고 있던 관군을 기습적으로 공격하여 큰 승리를 거두었다. 오늘날 이곳은 동학 농민군들이 남긴 정신과 함께 나라 사랑과 민주주의의 참뜻을 전하고 있다.
황토현 전적은 동학농민군이 관군에게 큰 승리를 거둔 곳이다. 고부 군수 조병갑의 수탈에 맞서 봉기한 농민군은 1894년(고종 31) 1월에 고부 관아를 습격하여 조병갑을 응징했다. 그러나 사태를 진정시키러 온 정부 관리는 모든 잘못을 농민군에게 돌리며 그들을 탄압했다. 이에 수만 명의 농민군은 고부 북쪽의 백산에 집결하여 나라를 바로잡고 백성을 구한다는 기치아래 전봉준을 대장으로 추대했다. 농민군은 1894년 5월 11일 새벽, 이 곳에 진을 치고 있던 관군을 기습적으로 공격하여 큰 승리를 거두었다. 오늘날 이곳은 동학 농민군들이 남긴 정신과 함께 나라 사랑과 민주주의의 참뜻을 전하고 있다.
濟世門(제세문)을 들어가서 輔國門(보국문) 뱡향으로 보이는 모습.
輔國門(보국문)을 들어서자 오랫동안 기다렸던 전봉준장군과 동학농민군상 '불멸 - 바람길'의 모습이 나타났다.
전봉준장군과 동학농민군상 '불멸 - 바람길
조형물 뒷면의 설명에 의하면 좌측은 1차봉기 행군상이고, 우측은 2차봉기 행군상이라고 한다.
조형물 뒷면의 설명에 의하면 좌측은 1차봉기 행군상이고, 우측은 2차봉기 행군상이라고 한다.
전봉준 장군과 동학농민군상
작품명 : 불멸 - 바람길
좌측부조 : 1차봉기 행군상
우측부조 : 2차봉기 행군상
재료 : 청동,화강암, 마천석
조각가 : 임영선
2022년 6월 25일
작품명 : 불멸 - 바람길
좌측부조 : 1차봉기 행군상
우측부조 : 2차봉기 행군상
재료 : 청동,화강암, 마천석
조각가 : 임영선
2022년 6월 25일
동학농민혁명 주요 일지
1892.10. ~ 11. 동학교도 공주집회, 삼례집회
1893. 2 광화문 복합상소
3. 보은 장내리 집회 - '보국안민', '척왜창의'
금구 원평집회
11. 고부 농민들, 군수 조병갑에게 수세 감면 호소
전봉준 등, 각리 집강에게 보내는 사발통문 작성
1894. 1차
1. 10(양 2.15) 전봉준, 고부농민들과 관아 점거
2. 15 안핵사 이용태, 고부 항쟁농민 탄압
3. 20(양 4.25) 전봉준, 손화중 등 무장기포, 포고문 발표
3. 26 백산대회, 격문발표
4. 2 장위영 영관 홍계훈, 양호초토사에 임명
4. 7(양 5.11) 동학농민군, 황토현에서 전라 감영군 격파
4. 23 동학농민군 장성으로 남하, 황룡촌전투에서 경군 격파
4. 27 동학농민군, 전주성 점령
4. 28 동학농민군, 완산전투
1892.10. ~ 11. 동학교도 공주집회, 삼례집회
1893. 2 광화문 복합상소
3. 보은 장내리 집회 - '보국안민', '척왜창의'
금구 원평집회
11. 고부 농민들, 군수 조병갑에게 수세 감면 호소
전봉준 등, 각리 집강에게 보내는 사발통문 작성
1894. 1차
1. 10(양 2.15) 전봉준, 고부농민들과 관아 점거
2. 15 안핵사 이용태, 고부 항쟁농민 탄압
3. 20(양 4.25) 전봉준, 손화중 등 무장기포, 포고문 발표
3. 26 백산대회, 격문발표
4. 2 장위영 영관 홍계훈, 양호초토사에 임명
4. 7(양 5.11) 동학농민군, 황토현에서 전라 감영군 격파
4. 23 동학농민군 장성으로 남하, 황룡촌전투에서 경군 격파
4. 27 동학농민군, 전주성 점령
4. 28 동학농민군, 완산전투
4. 30 조선정부, 위안스카이를 통해 청국군 청병 요청
청국군 아산 상륙(5.5.), 일본군 인천 상륙(5.6) 서울 진주
5. 8 전주화약 체결 후 전주성에서 철수
일본, 청일군 공동 철병안 거부
6. 21(양7.23) 일본군 경복궁 점령
6. 23(양7.23) 풍도전투, 청일전쟁 발발
6. 25(양7.27) 군국기무처 설치, 갑오개혁 추진
7. 6 전라감사 김학진과 집강소 설치 합의
청국군 아산 상륙(5.5.), 일본군 인천 상륙(5.6) 서울 진주
5. 8 전주화약 체결 후 전주성에서 철수
일본, 청일군 공동 철병안 거부
6. 21(양7.23) 일본군 경복궁 점령
6. 23(양7.23) 풍도전투, 청일전쟁 발발
6. 25(양7.27) 군국기무처 설치, 갑오개혁 추진
7. 6 전라감사 김학진과 집강소 설치 합의
1894년 2차봉기
8. ~9 경상도 예천전투, 문경 석문 전투
경기, 강원, 충청, 경상, 황해도 농민들 봉기 시작
9. 초순 전봉준, 재봉기 결정
9. 14 삼례대도소 설치
9. 18 동학교단 청산 기포령
9. 하순 동학농민군, 전국 각지에서 봉기
전라도 삼례와 충청도 보은에 동학농민군 집결
10. 14 경상도 남부 동학 농민군, 하동 고성산전투에서 일본군에게 패전
11. 9 전봉준, 손병희의 동학농민군, 공주 우금티에서 일본군,경군에게 패전
11. 13 김개남의 동학 농민군, 고막포전투에서 나주수성군에게 패배
11. 18 전라도 서남부 동학농민군, 고막포전투에서 나주수성군에게 패배
11. 27 원평,태인 전투 이후 전봉준 휘하 동학농민군 주력 해산
11. 27 황해도 동학농민군 해주성전투에서 일본군에게 패전
12. 2 전봉준, 순창 파로리에서 체포됨
12. 3 태인에서 붙잡힌 김개남, 전주에서 처형됨
12.18 북실전투 이후 경기도, 충청도, 강원도 동학농민군 주력 해산
8. ~9 경상도 예천전투, 문경 석문 전투
경기, 강원, 충청, 경상, 황해도 농민들 봉기 시작
9. 초순 전봉준, 재봉기 결정
9. 14 삼례대도소 설치
9. 18 동학교단 청산 기포령
9. 하순 동학농민군, 전국 각지에서 봉기
전라도 삼례와 충청도 보은에 동학농민군 집결
10. 14 경상도 남부 동학 농민군, 하동 고성산전투에서 일본군에게 패전
11. 9 전봉준, 손병희의 동학농민군, 공주 우금티에서 일본군,경군에게 패전
11. 13 김개남의 동학 농민군, 고막포전투에서 나주수성군에게 패배
11. 18 전라도 서남부 동학농민군, 고막포전투에서 나주수성군에게 패배
11. 27 원평,태인 전투 이후 전봉준 휘하 동학농민군 주력 해산
11. 27 황해도 동학농민군 해주성전투에서 일본군에게 패전
12. 2 전봉준, 순창 파로리에서 체포됨
12. 3 태인에서 붙잡힌 김개남, 전주에서 처형됨
12.18 북실전투 이후 경기도, 충청도, 강원도 동학농민군 주력 해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