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소
- 서울특별시 용산구 효창동 255
- 탐방로그
- 다음은 임정요인 묘역으로 향했다.
사적지 사진 상세설명
임정 요인 묘(臨政 要人 墓) / TOMBS OF KOREAN PROVISIONAL GOVERMENT LEADERS
이곳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요인으로 활약한 임정 주석 이동녕, 군무부장 조성환, 비서부장 차리석 선생의 묘역이다.
이동녕(1769~1940 선생은 충남 천안 출신으로 독립협회 활동과 언론·계몽운동, 기독교청년회[YMCA] 운동 및 을사늑약 반대 운동 등을 전개하였다. 1906년 북간도 망명 후 서전의숙을 설립하여 독립운동 인재를 양성하였으며, 1907년 귀국하여 신민회 조직에 참여하는 한편 언론·교육 활동을 하면서 항일 구국 운동에 나섰다. 1910년 서간도에 망명하여 경학사와 신흥무관학교 등을 설립하였다. 3.1운동 후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수립에 참여하였고, 한국독립당·한국국민당을 조직하는 한편 임시정부의 의정원 의장, 국무위워, 주석 등을 지냈다. 1940년 중국 치장에서 세상을 떠났는데, 1948년 김구 선생이 주선하여 사회장으로 봉환*되었다.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이 추서되었다.
조성환(1875~1948) 선생은 서울 출신으로 육군무관학교에 입학하여 군부를 개혁하고자 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항일 비밀결사인 신민회에서 적극적으로 활동했다. 1912년 일본의 총리대신 가쓰라의 만주 시찰 때에 암살을 기도하였으나 실패하여 옥고를 치렀다. 3.1운동 이후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군무차장에 임명되었으며, 만주 북로군정서에서 군무부장을 지내면서 청산리 전투 등 무장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임정 국무위원으로 활동하는 한편 광복군 창설과 활동에도 크게 기여하였다. 1945년 조국으로 돌아와 대한독립 촉성회 위원장을 지냈고 1948년 서거하였다.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이 추서되었다.
차리석(1881~1945) 선생은 평북 선천 출신으로 평양 숭실중학교를 졸업하고 신민회에 가입하였으며, '105인 사건'으로 3년간 옥고를 치렀다. 3.1운동 때 만세 시위 운동에 주도적으로 참여하였으며, 상하이로 망명하여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기관지인 「독립신문」 창간에 참여하고 기자와 편집국장으로 활약하였다. 그 후 임시의정원 위원, 국무위원 등을 지냈고, 임시정부가 없어질 위기에 처했을 때 임정을 고수하여 1935년 국무위원회를 조직하고 비서장에 선출되어 활약하였다. 또한 한국독립당 이사를 지냈으며 흥사단 원동임시위원부 단무를 총괄하였다. 1945년 일제가 패망하여 조국으로 돌아오려던 중 중국 충칭에서 세상을 떠났다. 1948년 김구 선생이 주선하여 사회장으로 봉환*되었다.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1961년 4월 18일 부인 강리성(1879~1961) 여사와 합장하였다.
*봉환: 받들어 모시고 돌아옴.
이곳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요인으로 활약한 임정 주석 이동녕, 군무부장 조성환, 비서부장 차리석 선생의 묘역이다.
이동녕(1769~1940 선생은 충남 천안 출신으로 독립협회 활동과 언론·계몽운동, 기독교청년회[YMCA] 운동 및 을사늑약 반대 운동 등을 전개하였다. 1906년 북간도 망명 후 서전의숙을 설립하여 독립운동 인재를 양성하였으며, 1907년 귀국하여 신민회 조직에 참여하는 한편 언론·교육 활동을 하면서 항일 구국 운동에 나섰다. 1910년 서간도에 망명하여 경학사와 신흥무관학교 등을 설립하였다. 3.1운동 후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수립에 참여하였고, 한국독립당·한국국민당을 조직하는 한편 임시정부의 의정원 의장, 국무위워, 주석 등을 지냈다. 1940년 중국 치장에서 세상을 떠났는데, 1948년 김구 선생이 주선하여 사회장으로 봉환*되었다.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이 추서되었다.
조성환(1875~1948) 선생은 서울 출신으로 육군무관학교에 입학하여 군부를 개혁하고자 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항일 비밀결사인 신민회에서 적극적으로 활동했다. 1912년 일본의 총리대신 가쓰라의 만주 시찰 때에 암살을 기도하였으나 실패하여 옥고를 치렀다. 3.1운동 이후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군무차장에 임명되었으며, 만주 북로군정서에서 군무부장을 지내면서 청산리 전투 등 무장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임정 국무위원으로 활동하는 한편 광복군 창설과 활동에도 크게 기여하였다. 1945년 조국으로 돌아와 대한독립 촉성회 위원장을 지냈고 1948년 서거하였다.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이 추서되었다.
차리석(1881~1945) 선생은 평북 선천 출신으로 평양 숭실중학교를 졸업하고 신민회에 가입하였으며, '105인 사건'으로 3년간 옥고를 치렀다. 3.1운동 때 만세 시위 운동에 주도적으로 참여하였으며, 상하이로 망명하여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기관지인 「독립신문」 창간에 참여하고 기자와 편집국장으로 활약하였다. 그 후 임시의정원 위원, 국무위원 등을 지냈고, 임시정부가 없어질 위기에 처했을 때 임정을 고수하여 1935년 국무위원회를 조직하고 비서장에 선출되어 활약하였다. 또한 한국독립당 이사를 지냈으며 흥사단 원동임시위원부 단무를 총괄하였다. 1945년 일제가 패망하여 조국으로 돌아오려던 중 중국 충칭에서 세상을 떠났다. 1948년 김구 선생이 주선하여 사회장으로 봉환*되었다.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1961년 4월 18일 부인 강리성(1879~1961) 여사와 합장하였다.
*봉환: 받들어 모시고 돌아옴.
大韓民國臨時政府 國務委員 軍務部長 曺成煥 之墓
(대한민국임시정부 국무위원 군무부장 조성환 지묘)
(대한민국임시정부 국무위원 군무부장 조성환 지묘)
관향 창녕 서울 출생. 한말 무관학교생으로 부패한 군부를 숙청하려다 발각되어 사형 언도로 복역 중 고종황제의 칙령으로 특사. 일본국 총리 계태랑(桂太郞)을 암살하려다 발각되어 유배형을 마친 뒤 만주로 망명 북로군정서 신민회 대한독립군 한독당 등 조직과 청산리 전투에 참여 큰 공을 남기셨다. 임정 국무위원ㆍ군무부장ㆍ한독당 초대감찰위원장과 광복 후 환국하시어 독립촉성회위원장 등을 역임. 74세를 일기로 서거하시어 사회장으로 이곳에 모시다.
건국공로훈장 추서
건국공로훈장 추서
다음은 임정요인 묘역으로 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