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동학농민혁명기념공원

1 28

주소
광주광역시 남구 이장동 216
탐방로그
전라도 광주 이장마을에 가면 장흥 고씨 집안에서 1592년 일어난 임란의병에서 1894년 2차 동학혁명으로 계승한 우리나라 의병 정신이 계승된 것을 볼 수 있다.

1592년 임진왜란 때 의병장 고경명과 3부자는 일본의 침략에 저항하다 순절하였다. 고경명(高敬命, 1533∼1592)은 1592년 금산 전투에서 둘째 아들 고인후(高因厚, 1561∼1592)와 함께 싸우다가 전사하였다. 고경명의 첫째 아들인 고종후(高從厚, 1554∼1593)는 1593년 진주성 전투에서 일본군과 싸웠고, 김천일·최경회와 함께 남강에 투신하여 순절했다.

한편 제봉(霽峰) 고경명(高敬命) 의병장의 후손 중에 선조의 의병 정신을 이어 구한말 독립 운동에 헌신하신 자손이 더 알려져 있어 기록해둔다.

고광순(高光洵, 1848-1907)은 전라남도 담양 출신으로 고경명의 둘째 아들인 학봉(鶴峰) 의열공(毅烈公) 고인후(高因厚)의 사손(祀孫)이다. 고광순은 1907년 의병장으로 전남 구례에서 구례 헌병 분견소를 습격하였고 동년 동복군에서 의병 백여명을 모아 왜적과 교전한 것과 지리산에서 광주수비대와 교전하다가 전사한 사실이 확인되어 1962년 독립장에 추서되셨다.

고광문(1864-1945)은 전라남도 담양 출신으로 호남의병장 고광순(高光洵)의 6촌 동생이다. 동학군으로 활동하였던 고광문(1860-1898)과 동명이인이자 같은 장흥 고씨 가문이다. 고광문은 이평국, 강사과 등과 함께 전남 곡성군에서 군사를 규합하고 물자를 조달하는 등의 사실이 확인되어 2002년에 건국포장에 추서되었다.

사적지 사진 상세설명

동학농민혁명 약사
조선 왕조 말기인 1890년 대에 들어서면서 벼슬 자리를 돈으로 사고파는 부패한 벼슬아치들의 혹심한 학정과 이들을 등에 업는 악덕 양반 지주들의 과중한 소작료 착취와 장리벼의 고리 수탈로 말미암아 백성들은 억눌리고 헐벗고 굶주림에 허뎍였다. 배우지 못하고 가난과 무식의 대물림이 되풀이 되는 암담한 세상에서 백성은 한탄과 원망으로 세월을 보내며 새로운 세상이 오기만을 갈망하고 있었다. 마침내 억눌린 백성들의 분노가 충천하여 1894년 동학농민혁명이 일어났다. 전라도 고부에서 동학접주 전봉준을 대장으로, 손화중, 김계남을 부대장으로 죽창과 몽둥이를 든 농민군이 고부 관아에 처들어가서 악덕 군수를 몰아내니 억눌리며 숨죽이고 살던 백성들이 동학군에 구름처럼 모여들어 그 기세는 하늘을 찔렀다. 새로운 세상을 열망하는 동학농민군은 단걸음에 전주감영을 접수하고 전라도 여러 고을에 집강소(執綱所)를 열어 광제창생(廣濟蒼生) 제폭구민(除暴救民)의 개혁정치를 펼쳐나갔다. 그러나 공주 우금치에 이르러 신무기로 무장한 일본군과 관군의 공격 앞에 맨몸으로 맞서다가 처절한 항쟁 끝에 끝내 패하니, 오호라 하늘이 무심하구나. 전봉준 대장은 순창에서 잡혀가 처형되고, 수많은 동학군이 남으로 밀리다가 장흥 석대뜰 전투를 긑으로 흩어지니 아아 참으로 절통하고 허망하도다. 그러나 백성들이 흘린 피는 헛되지 않았다. 조정은 갑오경장의 개혁을 단행하였고, 동학에 몸 담았던 손병희 선생이나 백범 김구 선생은 동학사상의 맥을 이어 독립운동의 선봉이 되었으며 조국 광복을 이룩하였다. 이에 만민평등과 우리가 누리는 자유민주국가의 영광은, 실로 110년 전인 동학농민혁명 정신과 선열의 고귀한 흘린 피의 위업이 아닐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