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동학농민혁명기념공원

1 28

주소
광주광역시 남구 이장동 216
탐방로그
전라도 광주 이장마을에 가면 장흥 고씨 집안에서 1592년 일어난 임란의병에서 1894년 2차 동학혁명으로 계승한 우리나라 의병 정신이 계승된 것을 볼 수 있다.

1592년 임진왜란 때 의병장 고경명과 3부자는 일본의 침략에 저항하다 순절하였다. 고경명(高敬命, 1533∼1592)은 1592년 금산 전투에서 둘째 아들 고인후(高因厚, 1561∼1592)와 함께 싸우다가 전사하였다. 고경명의 첫째 아들인 고종후(高從厚, 1554∼1593)는 1593년 진주성 전투에서 일본군과 싸웠고, 김천일·최경회와 함께 남강에 투신하여 순절했다.

한편 제봉(霽峰) 고경명(高敬命) 의병장의 후손 중에 선조의 의병 정신을 이어 구한말 독립 운동에 헌신하신 자손이 더 알려져 있어 기록해둔다.

고광순(高光洵, 1848-1907)은 전라남도 담양 출신으로 고경명의 둘째 아들인 학봉(鶴峰) 의열공(毅烈公) 고인후(高因厚)의 사손(祀孫)이다. 고광순은 1907년 의병장으로 전남 구례에서 구례 헌병 분견소를 습격하였고 동년 동복군에서 의병 백여명을 모아 왜적과 교전한 것과 지리산에서 광주수비대와 교전하다가 전사한 사실이 확인되어 1962년 독립장에 추서되셨다.

고광문(1864-1945)은 전라남도 담양 출신으로 호남의병장 고광순(高光洵)의 6촌 동생이다. 동학군으로 활동하였던 고광문(1860-1898)과 동명이인이자 같은 장흥 고씨 가문이다. 고광문은 이평국, 강사과 등과 함께 전남 곡성군에서 군사를 규합하고 물자를 조달하는 등의 사실이 확인되어 2002년에 건국포장에 추서되었다.

사적지 사진 상세설명

아낌없이 주는 나무

지상에서 누구나 영원함이 있으랴
님도 낙엽귀근으로 홀연히 가셨지만
나눔과 봉사로 평생 베풀고
열성으로 인재를 키우고
정열로 문화를 가꿔온
삶의 가치 빛났기에
우리들 마음속에 영원히 살아 있습니다
아낌없이 주는 나무로 살아 있습니다

소박하고 온화한 정
넉넉한 말씀 들을 수 없지만
내일을 살아가는 우리에게 끝나지 않는 민중의 함성 소리
가슴으로 외쳐 펄럭이는 동학정신 다시 일깨워
우리들 마음 흔들고 있습니다

의지와 집념을 한데 모은 님이여
꿈과 이상을 항상 몸 움직여 땀 흘린 농부가 되어
가까이 미래를 두고자 한 님이여
역경을 삼면정신으로 이겨 낸 님이여
님은 우리들 마음속 빈자리 찬란한 빛깔로
가득 채워기를 흔들고 푸르른 하늘빛 묻어나도록
깃발을 올립니다
민중의 한과 서러움을 달래 줄 힘이 되소서
우리들 마음속에 동학정신 강물 되어
천세만세 영원히 흘러가게 하소서
영원히 흘러가게 하소서

시인, 문학박사 손광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