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우조, 최선화 묘

4

주소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지영동 산7-6
탐방로그
소벽 양우조 선생과 부인 소정 최선화 선생 부부 독립유공자 묘소를 찾았다. 양우조 선생, 최선화 선생 묘소는 고양시 일산동구 지영동 산 7-6에 있으며, 산 정상까지 올라가야 한다. 산 정상까지 올라가자 양씨 문중의 묘소가 나오는데, 제일 위쪽 묘소가 애국지사 양우조 선생과 부인이신 애국지사 최선화 여사의 묘소이다. 양우조 선생의 묘비 외에 왼쪽에 최선화 여사의 묘비도 별도로 서 있었다.

사적지 사진 상세설명

素貞 崔善嬅의 墓(소정 최선화의 묘)
조국의 국권을 일본에 빼앗겨 속국이 됨에 나라를 되찾아 힘있고 자랑스런 조국을 후손에게 물려주고자 젊음과 열정을 바쳐 애쓰시던 애국지사 최선화 이곳에 잠드시다.

1931년 이화여전 문과졸업 모교에서 5년간 재직
1936년 중국상해간호전문학교 입학
1937년 한국 국민당 입당
1940년 한국혁명여성동맹결성준비위원 피선
1943년 한국애국부인회 재건하여 총무부장으로 귀국시까지 중국 중경에서 임시정부의 전시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
1954년 1976년 귀국후 이화여자대학교 영문과 및 비서학과 교수역임후 정년퇴임
1977년 대통령표창 수상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 수상
1911년 6월 20일 개성 출생
2003년 4월 19일 서울 소천
양우조, 최선화 애국지사 묘소에서 내려오면서 보이는 모습이다.
양우조, 최선화 묘는 고양시 일산동구 지영동 산 7-6에 있으며, 능선을 따라 올라가면 된다.
산 정상까지 올라가자 양씨 문중의 묘소가 나온다.
제일 위쪽 묘소가 애국지사 양우조 선생과 부인이신 애국지사 최선화 여사의 묘소이다.
양우조 선생의 묘비 외에 왼쪽에 최선화 여사의 묘비도 별도로 서 있었다.
少碧楊公宇朝之墓(소벽 양공 우조지묘)
楊宇朝之墓(양우조의 묘)
문화유적 0313-31-030
광무(光武)1년(1897~1964)때 사람으로 독립운동가
일명 양묵(楊墨) 호는 소벽(少碧)
여기 겨레의 얼과 나라의 삶을 찾아 일생을 바친 높고 맑고 참된 사람이 잠드시니
하늘과 땅이 다할 때까지 그의 넋이 우리와 함께 있으리라

건국공로훈장에 빛나는 소벽 양우조(일명 양묵)선생은 1897년 3월 29일 평남 강서에서 중화양씨 기영공의 아들로 탄생하여 미국 매세츄셋츠주 뉴벹포오드 공과대학을 졸업하신 후 미주 중국 등지를 왕래하시며 일생을 조국광복 대업에 바치시어 흥사단 한국독립당 임시정부 및 한국광복군의 중진으로 활약하시었고 해방 후 환국하여서도 초지일관하시도다. 1964년 9월 24일 향년 67세로 서울에서 영면하시였으며 아들 제재(濟在) 딸 제시(濟始) 제경(濟慶)을 남기시다. 손 인집(仁集)
1977년 9월
'제시의 일기'는 독립운동가 양우조, 최선화 부부가 8년간 썼던 일기 모음이다. 외손녀 김현주가 1999년 동명의 책으로도 출판했다.

'제시(濟始)'가 미국 이름인 줄 알았는데 돌림을 사용한 우리나라의 이름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配 晉州姜氏 泳寶 祔左, 繼配 全州崔氏 善嬅 祔右(배 진주강씨 영보 부좌, 계배 전주최씨 선화 부우)

初配이신 강영보 여사의 부친, 즉 양우조 선생의 장인이신 강명화 선생과 그 아드님이신 강영대, 강영소, 강영문(姜英文), 강영상, 강영각 선생이 모두 독립유공자이시다. 繼配이신 최선화 여사도 독립유공자이시니, 모두 독립유공자 집안이시다.